학술논문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effect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3호, 175~18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교실문해환경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읽기흥미와 상상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어머니와 유아 각각 266명이 참여했고,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그리고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가정・교실문해환경,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이야기 구성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발달과정에서 가정・교실 문해환경과 유아 자신의 읽기흥미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발달과 관련하여 가정・교실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흥미 그리고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on young children’s story-construction ability. Specifically, the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on was observed. A total of 266 children aged 4-5, their’ mothers and 18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Seoul province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27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Second,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increased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on, as well as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on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dual mediated by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on.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문제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에 나타나는 회복탄력성 내용 분석: 좌절과 극복의 과정을 바탕으로
- 저출산 시대, 영아 자녀와 놀이하는 다자녀 가정 직장인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 팬데믹 상황에서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실태 및 요구
- 기관유형에 따른 영유아교사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놀이지원역량의 차이와 관계 연구
- 국제적 어린이 도서상과 문화막시즘
-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과 권익보호에 관한 질적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부모 양육태도 연구동향 분석*
- 그림책에 나타난 대극의 경계로서의 사과의 상징성
-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흥미, 상상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백희나의『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속 아동의 주체되기
- 영아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영유아의 놀이 중 교사의 모바일 알림장용 사진촬영의 경험과 방향성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성 및 교직윤리의 매개효과*
- 조망수용에 기반한 유아 토론프로그램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를 활용한 우정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쟁점과 과제
-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