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Flipped Learning Particip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진표(Jin Pyo Lee) 백수미(Su MI Bae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6호, 229~2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을 교육전・후(pre-post)비교하고, 플립러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5년 3월부터 6월까지 약 4개월간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기반의 간호연구 교과목을 사전학습, 대면활동, 사후학습의 3단계로 구성하여 15주차로 운영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응답한 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플립러닝 교육 전과 교육 후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플립러닝 교육 후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을 시행하였으며, 메타인지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전략, 전공만족도는 교육 이전보다 교육 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업성취도,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교육 후에는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협력적자기효능감은 메타인지전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플립러닝이 간호연구 수업에 이론과 실습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학생들이 실제 간호 현장에서 필요한 연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유용한 교수법으로써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협력적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메타인지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method on nursing students, compar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and to elucidate how flipped learning influences these variables. From March to June 2025, over a period of four months, the nursing research course based on flipped learning was implemented for nursing students. The course was structured into three phases: pre-class learning, face-to-face activities, and post-class learning, and conducted over 15 weeks.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 valid responses from 75 participants being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intervention.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following the interv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major satisfaction post-intervention, compared to pre-intervention, whil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Moreover, post- intervention dat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aborative self- 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in the flipped learning context were found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metacognitive strateg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lipped learning, by effectively integra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elements in nursing research education, serves as a valuable pedagogical approach that enhances students’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is an influenti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t is instrumental in cultivating the research competencies required in real-world nursing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년 이하의 신규 간호사를 위한 CAVE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응급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파일럿 연구
- IPA 분석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눈치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및 대인관계수준의 비교연구
-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 소규모 조경공사 산업재해의 공종별 특성과 예방대책
- 소년보호관찰 현장에서의 콜코칭 상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 심방세동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정신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 중앙경찰학교 신임 재난사고 특채자를 위한 사례 기반 교육 - 산업・안전사고 수사역량 강화 방안
- 특허 정보를 활용한 안전관리 플랫폼 기술 동향 분석 - 특허 분류 코드 변화와 최근 트렌드
-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선에 밀집한 어선어업의 안전 분석 연구 -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로작업 선택성 및 어법을 중심으로
-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 충돌사고 재결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환자안전과 간호에 대한 연구 동향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 문신 시술 관련 부작용의 유형과 주요 원인 - 체계적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