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용수  6

영문명
Factors Affecting Survival to Hospital Discharge in Older Adul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문영(Young Moon) 곽연희(Yeun Hee Kwa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6호, 83~9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원시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 646명을 대상으로,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장정지 상황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장정지 상황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차이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을 적용하였고, 생존퇴원의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존퇴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χ²=7.65), 심장질환(χ²=12.37), 이상지질혈증(χ²=9.41), 뇌졸중(χ²=5.20), 심장정지 발생 층수(χ²=4.29), 발생 당시 활동(χ²=11.55)이었다. 노인의 생존퇴원 관련 요인은 남성, 심장질환 및 이상지질혈증 과거력, 치료 중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에서 높았으며, 수도권 거주자와 뇌졸중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낮았다. 결론적으로, 고위험 노인 환자군에 대한 선별적 관리와 개별 맞춤형 중재가 필요하며, 심장질환 및 이상지질혈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노인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뇌졸중 치료 경험이 있는 노인은 신경학적 예후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치료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병원 밖 심장정지 노인의 생존률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 및 예방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econdary data analysis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and cardiacarrest-related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to discharge among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The analysis utilized raw data from the 2022 Acute Cardiac Arrest Survey, which included 646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examin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Chi-square tests assessed differences in survival,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to discharge. Variabl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included gender (χ²=7.65), history of heart disease (χ²=12.37), dyslipidemia (χ²=9.41), stroke (χ²=5.20), floor level of arrest (χ²=4.29), and activity at the time of arrest (χ²=11.55).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survival were male gender, a history of heart disease, dyslipidemia, and arrest occurring during medical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argeted, individualized care for high-risk older adults and provide essential evidence to guide health policy and prevention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survival in elderly OHCA pat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영(Young Moon),곽연희(Yeun Hee Kwak). (2025).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 83-95

MLA

문영(Young Moon),곽연희(Yeun Hee Kwak).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2025): 8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