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이용수  0

영문명
Job Stressors and Safety Behavior in Service Workers : Moderating Role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anagerial Competenc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서현정(Hyun Jeong Seo) 김남균(Nam Kyun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6호, 97~11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환경적, 인간공학적, 대인관계 스트레스원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자원(심리적 안전풍토,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업 종사자 2,551명의 응답을 위계적 회귀분석과 상호작용항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경적・인간공학적 스트레스원은 안전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심리적 안전풍토와 관리자 안전역량은 안전행동을 촉진하였다. 특히 두 조직자원이 모두 높은 수준일 때 인간공학적 스트레스원의 부정적 효과가 유의하게 완화되었으며, 직장 내 폭력성 스트레스원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와 직장 내 폭력에 특화된 보호요인 탐색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패널데이터 기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향후 직접 설문을 통한 자료 수집과 측정 타당성 확보가 요구된다. 연구 결과는 안전문화 조성과 맞춤형 안전관리 전략 수립에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rgonomic, and interpersonal stressors on safety behaviors among service-sector employees and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resources,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and managerial safety competence. Using panel data from the 10th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responses from 2,551 employees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d interaction-term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and ergonomic stressors negatively influenced safety behaviors, whereas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and managerial safety competence positively promoted them. Notably, when both organizational resources were high, the adverse effect of ergonomic stressors on safety behavior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for workplace violence stressor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considering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he identification of protective factors targeting workplace violence. To overcome limitations of secondary panel data, future studies should employ direct survey methods and ensure measurement validity.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a safety culture and developing tailored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in service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 수행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현정(Hyun Jeong Seo),김남균(Nam Kyun Kim). (2025).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안전문화연구, (), 97-113

MLA

서현정(Hyun Jeong Seo),김남균(Nam Kyun Kim).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안전문화연구, (2025): 9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