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Call Coaching Counseling in the Field of Juvenile Proba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희진(Hee Jin Lee) 김지연(Ji Yeo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6호, 133~1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년보호관찰 현장에서 콜코칭 상담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원준법지원센터에서 실시된 콜코칭 상담을 단일사례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 절차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는 문헌, 소년보호관찰 담당관 면담, 기관 문서, 공공자료 등의 출처에서 통합적으로 수집되었으며, 반복적 회기 기반 개입 구조와 상담사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콜코칭 상담은 정서 조절, 일상생활습관 형성, 보호관찰 보조의 기능을 중심으로 작동하였으며, 상담사는 청소년의 정서 안정, 자기 통제, 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다기능적 실천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콜코칭 상담을 수행하는 상담자는‘심리사회적 연결자’, ‘관계회복 촉진자’로서 고위험군 청소년에 대한 중재 기능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중심 보호관찰이 제도 내에서 실현 가능함을 보여주며, 반복 개입 구조의 표준화와 전문성 기준 정립을 위한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roles of call coaching counseling in the field of juvenile probation. A single case of call coaching counseling conducted at the Suwon Probation Center was se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a qualitative case study. Data were comprehensively collected from literature, interviews with juvenile probation officers, institutional documents, and public records, with particular attention given to the intervention structure based on repeated sessions and the roles of counselo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all coaching counseling operated primarily through the functions of emotional regulation, daily habit formation, and probation support, with counselors serving as multifunctional practitioners who facilitated emotional stability, self-control, and social adaptation among youth. In particular, counselors delivering call coaching counseling were highlighted as “psychosocial connectors” and “relationship restoration facilitators,” with an emphasis on their pivotal intervention role for high-risk youth.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counseling-centered probation with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offers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for standardizing repetitive intervention structures and establishing professional competency criter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년 이하의 신규 간호사를 위한 CAVE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응급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파일럿 연구
- IPA 분석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눈치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및 대인관계수준의 비교연구
-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 소규모 조경공사 산업재해의 공종별 특성과 예방대책
- 소년보호관찰 현장에서의 콜코칭 상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 심방세동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정신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 중앙경찰학교 신임 재난사고 특채자를 위한 사례 기반 교육 - 산업・안전사고 수사역량 강화 방안
- 특허 정보를 활용한 안전관리 플랫폼 기술 동향 분석 - 특허 분류 코드 변화와 최근 트렌드
-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선에 밀집한 어선어업의 안전 분석 연구 -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로작업 선택성 및 어법을 중심으로
-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 충돌사고 재결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환자안전과 간호에 대한 연구 동향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 문신 시술 관련 부작용의 유형과 주요 원인 - 체계적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