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Based Training for New Disaster Accident Recruits at the Central Police Academy : Enhancing Investigative Capacity in Industrial and Safety Acci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송상훈(Sang Hun So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6호, 197~2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안전사고 수사를 담당할 신임 재난무도 특채 교육생을 대상으로 초기 법률 인식과 수사역량의 한계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생들은 증거 판단, 법리적 구성요건 해석, 고의성 입증, 인과관계 판단 등 핵심적인 수사 진행 과정에서 혼란을 경험하였다. 이는 공채 합격자와 달리 체계적인 법률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특채 교육생의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건설 현장 경험은 풍부하나, 이를 법률적 책임 규명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기술적・법률적 융합 능력 부족이 드러났다. 이러한 한계는 재난・안전사고 수사에서 객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사례 기반 학습(case-based learning)을 통해 법리적 해석 능력과 기술적 분석 역량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자교 붕괴사고와 같은 대형사고 사례를 활용한 교육은 법률적용에 대한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수사 불안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브레인스토밍 학습과 주제분석을 활용한 참여형 교육은 교육생 스스로 사고 과정을 점검하고 내적 성찰을 유도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재난・안전사고 수사 교육에서는 법률 지식의 기초부터 심화 적용까지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듈형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또한, 실무 경험과 이론적 법리해석을 융합하는 훈련을 통해 전문 수사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본 연구는 특채 교육생의 초기 학습 곤란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향후 경찰 교육 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사례 기반 훈련은 실체적 진실 발견과 객관적 증거 중심의 수사체계를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itial legal awareness and investigative capacity of newly recruited disaster-special officers at the Central Police Academy. Compared with regular recruits, they exhibit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 evaluating evidence, interpreting legal requirements, establishing intent, and determining causality. These limitations appear to stem from a lack of structured legal training, despite considerable field experience in construction. While technically competent, the trainees struggled to translate engineering expertise into legal accountability. This gap undermined objectivity and consistency in disaster and safety accident investigations. Case-based instruction, particularly the analysis of large-scale incidents such as the Jeongja Bridge collapse, proved useful in linking technical knowledge with legal reasoning and in reducing investigative anxiety. Interactive methods, including brainstorming and thematic discussion, fostered self-reflection and critical engagement.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a modular curriculum that develops legal knowledge progressively while integrat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Drawing on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early learning difficulties faced by specially recruited police trainees. These insights may serve as a basis for revising current legal education and police training programs. In particular, the incorporation of case-based training holds promise for fostering an investigative approach rooted in objective evidence and oriented toward achieving substantive justi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년 이하의 신규 간호사를 위한 CAVE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응급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파일럿 연구
- IPA 분석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눈치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및 대인관계수준의 비교연구
-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 소규모 조경공사 산업재해의 공종별 특성과 예방대책
- 소년보호관찰 현장에서의 콜코칭 상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 심방세동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정신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 중앙경찰학교 신임 재난사고 특채자를 위한 사례 기반 교육 - 산업・안전사고 수사역량 강화 방안
- 특허 정보를 활용한 안전관리 플랫폼 기술 동향 분석 - 특허 분류 코드 변화와 최근 트렌드
-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선에 밀집한 어선어업의 안전 분석 연구 -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로작업 선택성 및 어법을 중심으로
-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 충돌사고 재결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환자안전과 간호에 대한 연구 동향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 문신 시술 관련 부작용의 유형과 주요 원인 - 체계적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