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이용수  0

영문명
Risk Fac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Workers Handling Heavy Load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두영(Doo Young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6호, 181~19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동차 휠 제조 공정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 원인과 개선 방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A시 소재 휠 제조 사업장에서 근속 1년 이상 근로자 274명을 대상으로 자각 증상 조사와 인간공학적 분석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NLE(NIOSH Lifting Equation)을 함께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량물 취급과 반복 동작으로 인한 전신 부담이 두드러졌다. 인간공학적 분석에서도 주조, 가공, 적재 공정에서 RULA와 REBA 점수가 7~10점으로 평가되어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NLE 결과에서도 LI(Lifting Index)가 2.3에 도달하는 등 공학적 개선 수준의 위험도가 나타났다. 타 산업과의 비교에서 휠 제조 근로자는 표준화된 중량물 반복 취급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전신적이고 누적적인 부담이 두드러졌다. 이에 따라 단순 관리적 개선을 넘어 작업 설비와 공정 재설계, 자동화・보조 장치 도입, 인력 배치 조정, 특수건강진단 강화 등의 정책적·공학적 대책이 요구된다. 앞으로의 근골격계와 관련한 연구는 단순히 부담 작업에 해당되는지를 떠나 주관적 부담 정도, 인간공학 평가도구를 통한 점수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휠 제조업만 아니라 중량물 반복 취급이 불가피한 산업 전반에서 근골격계질환 예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the musculoskeletal burde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workers engaged in the automobile wheel manufacturing process. The subjective symptom investigation and ergonomic analysis of 274 worke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service at wheel manufacturing sites in A city in Korea were conducted together with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and NIOSH Lifting Equation (NL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overall burden due to heavy handling and repetitive movements was remarkable. In the ergonomic analysis, the RULA and REBA scores in the casting, processing, and loading processes were evaluated as 7-10 points, confirming that immediate improvement was needed. The NLE result also showed a risk of engineering improvement, such as the lifting index reaching 2.3. In comparison with other industries, wheel manufacturing workers showed remarkable systemic and cumulative burdens due to the peculiarity of standardized repeated handling of heavy objects. Accordingly, policy and engineering measures such as redesigning work facilities and processes, introducing automation and auxiliary devices, adjusting manpower allocation, and strengthening special health diagnosis are required beyond simple management improvement. Future research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shows that the subjective burden level and scores through ergonomic evaluation tools should be reflected in combin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simply a burden task.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not only in the wheel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in industries where repeated handling of heavy objects is inevitabl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영(Doo Young Kim). (2025).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안전문화연구, (), 181-196

MLA

김두영(Doo Young Kim).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안전문화연구, (2025): 18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