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and Causes of Tattoo-Related Adverse Effects :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하영(Ha Young Park) 김경미(Kyung Mi Kim) 김유진(Yoo ji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6호,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신 시술 이후 보고된 부작용의 유형과 주요 위험 요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KoreaMed, RISS, KISS, KMBASE, KoreaScience, MEDLINE, EMBASE, Cochrane, APA PsycInfo 등 국내외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출판된 문신 부작용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총 27편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문신 시술 후 가장 흔히 보고된 부작용은 알레르기 반응(70.4%)과 감염(63.0%)이었고, 종양성 변화(33.3%), 기타 피부 이상반응(14.8%), 면역 관련 합병증(3.7%)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부작용의 주요 원인으로는 염료 성분(특히 붉은색 및 회색 계열), 시술 기법과 깊이, 장비 및 환경의 위생상태, 사후관리 부족 등이 반복적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문신 시술이 피부에 국한되지 않고 전신 건강에도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이에 따라 염료 안전성 검증 및 관리제도 마련, 시술자 교육과 자격 관리, 위생 기준 강화, 부작용 감시체계 도입 등 다층적인 정책적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types and major risk factors of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tattoo procedure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including KoreaMed, RISS, KISS, KMBASE, KoreaScience, MEDLINE, EMBASE, Cochrane, and APA PsycInfo, covering publication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25. A total of 27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dverse effects were allergic reactions (70.4%) and infections (63.0%), followed by tumor-related changes (33.3%), other dermatological abnormalities (14.8%), and immune-related complications (3.7%). The main causes identified included pigment composition (particularly red and gray pigments), tattooing techniques and depth, inadequate sterilization and hygiene of instruments and environments, and insufficient post-procedure care. Conclusions: Tattooing may pose potential health risks not only to the skin but also to systemic health.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multifaceted policy improvements, including the standardization of safety evaluation and regulatory frameworks for pigments, structured training and licensing of tattooists, stricter hygiene standards, and the implementation of adverse event surveillance syste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년 이하의 신규 간호사를 위한 CAVE 기반 몰입형 가상현실 응급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파일럿 연구
- IPA 분석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눈치 수준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및 대인관계수준의 비교연구
-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노인의 생존퇴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원과 안전행동 - 심리적 안전풍토 및 관리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
- 소규모 조경공사 산업재해의 공종별 특성과 예방대책
- 소년보호관찰 현장에서의 콜코칭 상담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고찰
- 심방세동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정신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근골격계 부담원인과 개선방향
- 중앙경찰학교 신임 재난사고 특채자를 위한 사례 기반 교육 - 산업・안전사고 수사역량 강화 방안
- 특허 정보를 활용한 안전관리 플랫폼 기술 동향 분석 - 특허 분류 코드 변화와 최근 트렌드
- 플립러닝 교수-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적자기효능감,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선에 밀집한 어선어업의 안전 분석 연구 -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로작업 선택성 및 어법을 중심으로
-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 충돌사고 재결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환자안전과 간호에 대한 연구 동향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 문신 시술 관련 부작용의 유형과 주요 원인 - 체계적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