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용수  0

영문명
Problems and Solutions in VR Safety Training for Construction Engineers under Mandatory Educat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근우(Kun Woo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6호, 49~6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 안전교육은 낮은 몰입도와 이론 중심의 전달 방식으로 인해 학습 효과가 제한적이며, 실제 사고 예방에 효과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이 몰입도 향상, 반복 학습, 고위험 시뮬레이션 등 학습자 중심의 실질적인 교육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건설기술인의 체험형 안전교육의 강화로 VR을 활용한 법정 안전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VR 안전교육과 전통적인 이론 중심 안전교육을 비교하여 교육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025년 3월부터 5월까지 경복대학교 건설교육원 법정 교육에 참여한 건설기술인 중 45명을 대상으로 VR 안전교육과 이론 중심의 안전교육을 비교하여 실시하고, 교육 내용의 현실성, 몰입도, 학습 효과, 현장 적용성과 VR 기기 사용의 문제점 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전체 문항에서 89% 이상이 5점 척도에서 4점 이상으로 VR 안전교육이 효과적이라 응답하였으며, 교육의 몰입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어지러움, 실제 현장과의 차이, 기기 착용의 불편함 등 기술적 한계도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VR 안전교육이 산업재해 예방에 효과적인 교육수단으로 발전되기 위하여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 공동개발, 장비 편의성 개선, 안전교육 이후 교육효과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has often been limited in effectiveness due to its theory-oriented delivery and low learner engagement, resulting in insufficient impact on accident prevention. Recent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to transform safety training into an immersive, learner-centered experience by enabling repetitive practice and high-risk simulations. Since 2021, experiential training using VR 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in statutory safety education for construction professionals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VR-based safety education with traditional lecture-based approaches, analyzing their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From March to May 2025, a VR safety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45 construction professionals at the Kyungbok University Construction Education Center, focusing on realism, immersion, learning outcomes, and applicability to the field. Survey results showed that over 89% of participants rated VR training as effective (4 or higher on a 5-point scale), with particularly high satisfaction regarding immersion. However, technical issues such as dizziness, differences from real sites, and discomfort with equipment were also noted. The study suggests that for VR safety education to further develop as an effective tool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collaborative content development reflecting learner needs, improvement of training equipment usability, and systematic post-training effectiveness management are essenti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우(Kun Woo Lee). (2025).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안전문화연구, (), 49-61

MLA

이근우(Kun Woo Lee). "건설기술인 법정 직무교육에서 VR 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안전문화연구, (2025): 49-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