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Teach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Focus on Studies from 2005 to 2024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세중(Se-Joong Lee) 이종연(Jong-Yeun Lee)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225~25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 관련 연구 54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교사 교사 정체성 관련 학술지 논문 35편과 학위논문 19편, 총 54편을 수집하여, 발표 시기와 형태,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의 특성, 정체성의 심리·정서적 차원을 대주제로 삼고, 이를 다시 32개의 세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 연구는 202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최근 5년간 전체 연구의 48.1%가 발표되었으며,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35.2%)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32.4%)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사 정체성의 양상 및 특징(19.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68.5%)가 2/3 이상을 차지했고, 연구참여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성장기 교사(6~10년) 대상 연구 및 남성 교사 대상 정체성 연구가 현저히 부족하였다. 끝으로, 교사의 정체성을 심리·정서적 경험 차원에서 다룬 연구가 전체의 35.1%를 차지하였으며, 정체성 위기와 갈등, 성찰과 재구성, 회복과 지속 경험 등 내적 과정에 주목하는 연구가 정체성 연구의 한 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 연구가 최근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정서적·사회적·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장기 교사에 대한 집중적 탐구, 젠더·감정노동·늘봄정책 등과 연계한 총체적 접근, 그리고 정책적 함의를 고려한 실천 중심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54 domestic research studies on the teach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published from 2005 to 2024 and examine research trend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A total of 54 studies, including 35 journal articles and 19 theses, were reviewed. The analysis considered publication period and type, research topics, method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the psychological-emotional dimension of teacher identity. Results: Research on the teach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20, with journal articles published more frequently than theses. The dominant topics concerned factors influencing identity and identity formation processes, followed by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dentit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studies, while research on teachers in the growth stage and male teachers remained scarce.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has examined teacher identity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highlighting identity crises and conflicts,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nd recovery experiences as key proces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ecent research studies on the teach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xpanding to encompass emotional, soci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response to changing educational contexts. Future research studies need to focus more intensively on teachers in the growth stage, adopt holistic approaches linking gender, emotional labor, and policies such as the extended care program, and emphasize practice-oriented studies with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세중(Se-Joong Lee),이종연(Jong-Yeun Lee). (2025).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41 (5), 225-256

MLA

이세중(Se-Joong Lee),이종연(Jong-Yeun Lee).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41.5(2025): 225-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