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lization of Zipf's Law in Argumentative Essays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혜림(Hye-Rim Kim) 박영민(Yo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연과 인간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법칙 중 하나인 지프의 법칙(Zipf’s law)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논설문의 단어 사용에서도 실현되는지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학생 논설문 894편과 고등학생의 논설문 1,468편, 총 2,362편을 대상으로 글에 나타난 단어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단어 빈도의 분포가 지프 법칙 분포와 유사한지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다시 정량적으로 검증하여 지프 법칙에 부합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집단과 학교급별 집단의 단어 빈도는 모두 지프 법칙에 근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위 30위에 해당하는 단어가 전체 단어 빈도의 40%에 근사하는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3개 집단에서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는 단어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Power law 적합도 확인, 로그 우도 비 검정에서 지프 법칙에 근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논설문에 나타난 지프 법칙 실현 양상은 언어 사용에서 최소 노력의 원리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자, 필자로서의 학생이 논제와 논증 구조에 부합하면서 효율적으로 글을 작성하기 위한 노력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법칙이라 할 수 있다. 언어 발달 과정에 있는 학생의 글이 지프 법칙을 따르는 것은 쓰기 및 읽기 교육에서 학생이 다양하고 다변화된 단어를 사용하도록 지도하고, 학생 수준에 적합한 읽기 자료를 선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지프 법칙은 인공지능이 생성한 글과 학생 글을 변별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Zipf's law-a principle explaining various phenomena in nature and human society-is also manifested in the word usage of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62 student essays were analyzed, comprising 894 essay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and 1,468 from high school students. The frequency of words used in these essays was examined. A visu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word frequency distribution aligns with Zipfian distribution, followed by quantitative validation to verify the conformity with Zipf's law.
Results: The word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entire corpus as well as of each school level approximated Zipf's law. The top 30 word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40% of the total word occurrences, and the top 10 most frequent words were nearly identical across all three subgroups. Regression analysis, goodness-of-fit tests for power-law distribution, and log-likelihood ratio tests all indicated a strong approximation to Zipf's law.
Conclusion: The realization of Zipf's law in student essays reflects a natural linguistic phenomenon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least effort. It also represents a universal pattern emerging from students' efforts to write efficiently while conforming to the topic and argumentative structure. The adherence to Zipf's law in students' writing, despite their ongoing language development, suggests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writing and reading education. Teachers may guide students to use a more diverse vocabulary and select reading materials that match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Furthermore, Zipf's law may serve as a potential benchmark for distinguishing between student-authored texts and those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 교사 자율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가? - TALIS 2018 중학교 교사 자료 분석
- 중·고등학생 논설문의 지프의 법칙 실현 양상
- 초등학교 남교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축구 종목 학교 팀과 클럽 팀 학생선수의 진로타협 경향성 비교 - 진로지도의 관점에서
- The Impact of a 3D-Printed PVT Phase Equilibrium Model for Water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Empathy
-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 전라남도 초등교사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 중국 소수민족 지역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업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 체육 수업 참여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내적 동기, 수업 몰입의 구조적 관계
- 통일 역량(Unification Competence) 측정 도구 개발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운동부 운영 관련 담론분석
- 교사의 경력개발 경험 및 인식의 조합과 직무역량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발현에 관한 연구
-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