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b Competency and Combinations of Teachers'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혜나(Hye-Na Lee) 문찬수(Chan-Soo Moon) 김은수(Eun-Su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415~4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경력개발 과정을 사전(예비교사), 교직 입문, 교사 재직 시기로 구분하여, 경력개발 경험과 인식의 어떠한 조합들이 높은 직무 역량(교수·학습 역량, 생활 및 진로지도 역량, 학급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을 설명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2차년도 조사자료의 중등교원 1,421명의 응답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 시기의 교원양성과정이 교직 수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이 높은 생활 및 진로지도 역량과 학급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을 가져오는 주요한 조합 조건으로 나타났다. 교사자격 취득경로는 높은 직무역량을 설명하는 조합들에서 혼합되어 나타났으나 개방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 입문 시기의 경력개발 경험과 인식으로는, 낮은 외재적 동기나 교사 이전 타 직업 경험이 있는 경우가 높은 직무역량을 설명하는 조합들에서 반대의 조건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재직 시기의 교육행정가(직)으로 승진지향 여부와 정년까지 교직 재직 계획은 혼합되어 나타났는데, 학급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을 설명하는 데 있어 교육행정가(직) 승진지향 조건의 출현 빈도가 높은 편이었고, 정년까지 교직 재직 계획이 있는 경우는 생활 및 진로지도와 학급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에서 대체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결론: 교사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교직 입문 전 다양한 교사자격 취득경로 및 현장성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다양한 경력개발 경험에 대한 지원, 교육행정가(직), 연구 및 교수·학습으로의 전문가 지향 등 교사 경력개발 목표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mbinations of teachers’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 across the pre-service, induction, and in-service stages that explain higher job competency-specifically ‘instructional competency’, ‘student-life and career guidance competency’, and ‘classroom and school management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used response data from 1,421 second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of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and applied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
Results: First, regarding the pre-service stage, teachers’ perception that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practically useful emerged as a major condition in combinations explaining higher student guidance competency as well as management competency. While teacher certification pathways appeared in mixed patterns across combinations explaining higher job competency, alternative certification pathways showed relatively more frequently. Second, at the induction stage, low extrinsic motivation and prior work experience outside of teaching were more often present in the combinations associated with higher competency than their opposite conditions. Third, regarding the in-service stage, orientation toward promo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plans to remain in teaching until retirement showed mixed patterns. Among these, promotion-oriented goals appeared more frequently in combinations explaining higher management competency, while plans to stay until retirement appeared somewhat consistently in combinations for both student guidance and management competenc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iverse certification pathways, practice-oriented curricula for pre-service teachers, support for broader career experiences, and tailored assistance for career goals such as specializ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or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 교사 자율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가? - TALIS 2018 중학교 교사 자료 분석
- 중·고등학생 논설문의 지프의 법칙 실현 양상
- 초등학교 남교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축구 종목 학교 팀과 클럽 팀 학생선수의 진로타협 경향성 비교 - 진로지도의 관점에서
- The Impact of a 3D-Printed PVT Phase Equilibrium Model for Water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Empathy
-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 전라남도 초등교사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 중국 소수민족 지역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업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 체육 수업 참여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내적 동기, 수업 몰입의 구조적 관계
- 통일 역량(Unification Competence) 측정 도구 개발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운동부 운영 관련 담론분석
- 교사의 경력개발 경험 및 인식의 조합과 직무역량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발현에 관한 연구
-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