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Unification Competence Inventor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진욱(Jinwook Jung) 김진오(Jino Kim) 이한솔(Hansol Lee) 박대철(Daechul Park) 류호정(Hojung Yu) 조현선(Hyun Sun Cho) 김연정(Yeon Jung Kim) 김현욱(Hyunwo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371~3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한반도 분단이 지속되면서 통일은 단순한 사건이 아닌 장기적으로 평화를 구축하는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이 실천할 수 있는 통일 역량의 구체적 구성 요인과 수준을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통일 역량의 핵심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전문가 집단 검토를 통해 예비 문항을 구안한 뒤, 내용타당도 검토(CVI) 결과를 반영해 54문항을 확정하였다. 전국 성인 137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출한 문항을 사용하여 242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통일 역량은 4개 요인, 총 18개 문항으로 도출하였다. 각 요인은 평화적 기여(7문항), 다양성 존중(5문항), 소통과 실천(3문항), 비판적 사고(3문항)로 명명하였다. 네 가지 요인은 공통적으로 한반도 맥락에서 평화적 전환에 기여하려는 지향을 담고 있으며, 평화통일 과정에서 개인이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통합적인 구조로 설명한다.
결론: 본 연구가 제안하는 통일 역량 척도는 각 시민이 통일의 주체로서 갖춰야 하는 역량을 4가지 요인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이는 통일교육 및 평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과 효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시민 스스로 자신의 통일 역량을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지표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With the Korean Peninsula remaining divided, unification is increasingly perceived not as a one-time event but as a long-term peace-building process.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to identify the concrete components and levels of ‘unification competence’ that citizens can enact in daily life. This study aimed to specify the core factors of unification competence for Korean citizen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its measurement.
Methods: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panel discussions. After content-validity indexing (CVI), fifty-four items were retained. A preliminary survey with 137 adults was conducted and subjected to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Using the refined item pool, a main survey of 242 adults was administer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then performed to finalize the scale.
Results: EFA and CFA yielded eighteen items loading on four factors. Peaceful Contribution (7 items), Respect for Diversity (5 items), Communication & Action (3 items), and Critical Thinking (3 items). The four factors share a common orientation toward contributing to a peaceful trans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llectively offer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competencies individuals can demonstrate in the process of peaceful unification.
Conclusion: This unification competence scale proposed in this study organizes the competencies that citizens should possess as agents of unification into four factors. The instrument can inform goal setting and impact evaluation in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programs, while also providing citizens with a practical diagnostic tool to assess and enhance their own unification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 교사 자율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가? - TALIS 2018 중학교 교사 자료 분석
- 중·고등학생 논설문의 지프의 법칙 실현 양상
- 초등학교 남교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축구 종목 학교 팀과 클럽 팀 학생선수의 진로타협 경향성 비교 - 진로지도의 관점에서
- The Impact of a 3D-Printed PVT Phase Equilibrium Model for Water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Empathy
-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 전라남도 초등교사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 중국 소수민족 지역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업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 체육 수업 참여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내적 동기, 수업 몰입의 구조적 관계
- 통일 역량(Unification Competence) 측정 도구 개발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운동부 운영 관련 담론분석
- 교사의 경력개발 경험 및 인식의 조합과 직무역량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발현에 관한 연구
-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