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hildren's Physiological Responses to Coopetition: EEG and PPG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한솔(Han-Sol Lee)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283~3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페티션 상황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코페티션 수업 전략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총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날은 비경쟁 상황, 둘째 날은 코페티션 상황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상황에서 학생들의 뇌파와 맥파를 측정하여 집중도, 두뇌 활성도, 스트레스, 심박변이도를 수집하였다. 두 상황 간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과 효과 크기를 통해 분석하였고, 평가 점수, 문제 풀이 수, 면담 결과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높였다. 연구결과: 코페티션 상황에서 뇌파의 집중도와 두뇌 활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집중도의 효과 크기는 중간에 가까웠으며 두뇌 활성도의 효과 크기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의 효과는 미비했다. 맥파에서 심박변이도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효과 크기 또한 작았다. 결론: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참여를 촉진하면서도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기존의 코페티션 전략의 이점을 생리적 관점에서도 검증하였다. 기존의 자기보고식 설문이나 행동 관찰을 통한 코페티션 교육 효과 분석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학생들의 생리적 반응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탐색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elementary students'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coopetition and non-competitive situations,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opetition-based instruction. Methods: The study involved nine third-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On the first day, students completed a math test individually, and on the second day, under a coopetition setting with simulated inter-school competition. EEG and PPG were used to measure concentration, brain activity, stress, and HRV. Wilcoxon signed-rank tests and effect sizes were used for analysis, with test scores, number of problems solved, and interview data used as supplementary. Results: EEG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concentration and brain activity under the coopetition condition, while stress leve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ffect sizes indicated a moderate increase in concentration and a large increase in brain activity, but minimal effects on stress. HRV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a small effect size.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coopetition can enhance motivation and engagement without increasing stress, confirming its benefits from a phys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offers exploratory insights by moving beyond self-report and behavioral data to physiological evi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한솔(Han-Sol Lee). (2025).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교원교육, 41 (5), 283-302

MLA

이한솔(Han-Sol Lee).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교원교육, 41.5(2025): 283-3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