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the Role of Workload and Conflict with Parents in Burnout among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전효리(Hyori Jeon) 송주연(Juyeon Song) 이우걸(Woogul Lee)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257~28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을 검증하고, 이때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하고 있는 종단 자료인 서울교원종단연구(SELS) 2기 자료 중 교원 종단 연구의 2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시점인 2022년 기준, 교직 경력 2년과 6년 코호트에 해당하는 초등교사 28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이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를 예측할 때, 교사, 학생, 학부모, 관리자와의 관계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의 하위 요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 지도 및 상담 부담감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를 예측하였으나, 학생 및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는 이를 완충하였다. 반면, 학부모 갈등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를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행정업무 부담감은 정서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관계는 이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업 부담감은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연구의 주요 결과에 기반하여 학생,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맺기와 학부모 갈등의 해결 방법 제시, 행정업무 부담감 감소를 위한 학교 문화 개선 및 행정업무 경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load burden, conflicts with parents, and burnout among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ese associations.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2- and 6-year teaching experience cohorts as of 2022.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conducted interaction analyses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of teachers with other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administrators moderated the predictive effects of workload and parent-teacher conflict on emotional exhaustion,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Results: Student and parent relationships buffered emotional exhaustion under guidance burdens, while parental conflict increased exhaustion regardless of these relationships. Under administrative burden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udents buffered reduced accomplishment, and those with administrators buffered exhaus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parents, resolving conflicts with parents, and improving school climat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효리(Hyori Jeon),송주연(Juyeon Song),이우걸(Woogul Lee). (2025).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교원교육, 41 (5), 257-281

MLA

전효리(Hyori Jeon),송주연(Juyeon Song),이우걸(Woogul Lee).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교원교육, 41.5(2025): 257-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