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Regarding Special School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Centered on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진현선(Hyun-Sun Jin) 김한별(Han-Byul Kim)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201~2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삶과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사의 교육 실천과 삶의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고, 특수학교 내부의 구조적 조건과 문화가 이러한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자 자신의 교육 경험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하고 해석하였다. 자료는 연구자의 내러티브 기록, 반성적 메모, 관련 문서 자료 등을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역할은 수업 수행 중심에서 학생과의 관계 맺기, 돌봄, 윤리적 책임까지 포함하여 확장되었다. 둘째, 장애에 대한 인식은 학생의 결핍을 채워야 하는 대상에서 독립된 존재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셋째, 특수학교 문화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에 따라 구분되고 위계화되는 구조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교사의 개인적인 삶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자기돌봄의 의미로 재구성되었다. 결론: 이처럼 중도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경험은 교사의 실천과 정체성,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교사를 둘러싼 제도적 조건과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실천을 교사 개인의 차원을 넘어 구조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lives and identities of special school teachers change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particular, it sought to understand how teachers construct the meaning of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nd lives, and how the structural conditions and culture within special schools influence this process.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utoethnography through which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and interpreted the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s in a narrative forma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er’s personal narratives, reflective memos, and related documents.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ole expanded from a focus on instructional tasks to include build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caregiving,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Second,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shifted from viewing students as deficient individuals to recognizing them as independent beings. Third, the teacher developed a critical awareness of the structural issues within special school culture, particularly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students based on disability types. Fourth, the teacher’s personal life was reconstructed around the concept of self-care, emerging from the pursuit of work-life balance.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rompted the teacher to reexamine their educational practices,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life. These changes were shaped through interactions with institutional condi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es not only as individual efforts but also within broader structural and cultural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교사 발달과 학습
Ⅲ. 연구방법
Ⅳ.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 경험과 특수교사의 학습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현선(Hyun-Sun Jin),김한별(Han-Byul Kim). (2025).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41 (5), 201-223

MLA

진현선(Hyun-Sun Jin),김한별(Han-Byul Kim).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41.5(2025): 201-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