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Jeju Province's Tax Revenue, 1894-1904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양미혜(Mi-Hye Ya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57~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894년~1904년까지의 제주지방 세입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성책 등의 실증적 자료를 근거로 규명하였다. 갑오개혁 이전, 제주지방은 지리적, 환경적 여건으로 중앙에 세금을 상납하지 않고 도내에서 사용하였고, 전결보다는 호에 기준을 두어 세금을 징수하였다.
갑오개혁기에, 난립했던 모든 재무기관이 탁지부로 일원화되었다. 회계법이 제정되면서 제주지방도 중앙정책에 따라 중앙에 상납하게 되었고, 중앙정책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회계성책을 통해 세입항목을 분석하여 중앙정책에 따른 세입구조의 변화를 살피 고, 제주지방만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세금이 지세와 호포세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제주 지방은 여전히 지세보다는 호에 근거로 한 호포세의 비중이 가장 컸다.
이 기간 중 1898년과 1901년에 제주지방에서 민란이 발생하였다. 그 발생 요인을 재정적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Jeju area operated within the province without paying taxes to the central government. Taxe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household tax rather than the land tax. All the fiscal bodies responsible for revenue and expenditure were unified under the Takjibu(the Ministry of Finance).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ccounting Law,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was placed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and became subject to its policies.
By analyzing revenue items through Jeju Province's report on settlement of accounts, the changes in the revenu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entral policy wer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were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axes into the land tax and the household tax, Jeju still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household tax rather than tax on land. During this period, uprisings occurred in Jeju in 1898 and 1901, triggered by excessive taxation. Their causes have been analyzed from a financial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갑오·을미시기 제주지방의 수취체제
Ⅲ. 광무시기 제주지방의 세입 항목 분석
Ⅳ. 광무시기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폐해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1894~1904년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변화와 특징
- 임피제 신부의 4-H 활동 및 특징
- 1920년 제주지역 콜레라 유행 연구
- 행방불명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 대만2·28사건과 제주4·3사건 비교연구
-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유형별 특성과 주민 이용 실태
- 쿰다-모빌리티의 관점에서 본 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지역여건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통합교육에 대한 제주 지역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 교육대학 1,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의 단기효과와 경제효과 분석
-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 제주항 연안여객선 접이안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크투어리즘의 체험요인이 행동의도 및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공간 인지의 선행변수 효과
- 제주 여성의 미래 유망직종 발굴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