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ment of Jeju's Regional Conditions Using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이민주(Minju Lee) 이자훈(Jahun Lee)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223~2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시대위원회의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하여 제주의 지역여건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주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제주의 전반적인 지역여건은 17개 시도 중 13위로 중하위 수준이며, 지역여건 측면에서 강점은 문화·여가, 안전, 인구 부문이고 약점은 교육, 생산·분배, 생활환경 부문으로 나타났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전반적인 지역여건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각각 76위와 132위로 평가되어 도내 산남·산북 간 지역격차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제주시의 강점은 문화·여가, 생산·분배, 인구 부문이며 물가·재정, 안전, 보건·복지, 생활 환경 등은 약점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는 산업·일자리, 인구, 주거 부문이 강점으로 평가되었고 물가·재정, 교육, 문화·여가 등이 약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경쟁력 강화와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지역 교육 인프라 개선 및 인재 정착 지원 강화, 지역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생산·분배 구조 개선및 내수 활성화,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지속가능한 환경복지 향상 등 세 가지 실행 전략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제주형 지역여건 진단지표 개발과 지속적 모니터링의 필요 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ess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Jeju using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of South Korea and suggest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reflect Jeju’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Jeju ranks 13th of 17 provincial-level divisions, indicating a lower-middle level overall. Jeju’s strengths are found in Culture and Leisure, Safety, and Population, while its weaknesses are in Educa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Living Environment. At the local level, Jeju City and Seogwipo City rank 76th and 132nd out of 228 cities respectively, revealing disparities between jurisdictions within Jeju Island. Jeju City shows strengths in Culture and Leisur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Population, but weaknesses in Price and Finance, Safety, Health and Welfare, and Living Environment. Seogwipo City, in turn, shows strengths in Industry and Jobs, Population, and Housing but weaknesses in Price and Finance, Education, and Culture and Leis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stablishes public policy priorities for improv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suggests three action strategies: enhanc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the retention of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creating a pleasant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study recommends developing an index tailored to Jeju and establishing a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와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1894~1904년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변화와 특징
- 임피제 신부의 4-H 활동 및 특징
- 1920년 제주지역 콜레라 유행 연구
- 행방불명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 대만2·28사건과 제주4·3사건 비교연구
-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유형별 특성과 주민 이용 실태
- 쿰다-모빌리티의 관점에서 본 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지역여건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통합교육에 대한 제주 지역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 교육대학 1,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의 단기효과와 경제효과 분석
-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 제주항 연안여객선 접이안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크투어리즘의 체험요인이 행동의도 및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공간 인지의 선행변수 효과
- 제주 여성의 미래 유망직종 발굴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