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Kiosk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in Jeju on Continuous Use Intention: Empirical Value as a Moderating Variabl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양태석(Tai-Seok Yang) 이충수(Chung-Soo Lee) 최영진(Young-Jin Choi)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297~3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키오스크 사용이 제주지역에서도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맞추어, 제주지역에 카오스크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는 패스트푸드점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키오스크의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고, 사용에 따른 경험적 가치가 키오스크 특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주지역의 키오스크 개발 방향과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에서의 키오스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결 과, 키오스크의 편리성(.243), 흥미성(.170), 신속성(.167), 신뢰성(.154), 유용성 (.153)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가치의 조절효과는 설명력(R²)이 .643에서 .683, 최종적으로 .692로 증가하여 경험적 가치는 키오스크 특성과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의 키오스크 특성은 고객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경험적 가치는 조절변수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패스트 푸드점 키오스크 특성 요인 중 편리성, 신뢰성, 신속성만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조절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line with the rapid expansion of kiosk use centered on non-face-to-face services in Jeju,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kiosk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fast food restaurant customers who are generalized in kiosk use in Jeju,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on kiosk characteristic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th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kiosk development in Jeju that meets the needs of customers and the revitalization of kiosks in fast food restaurants in Jeju.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nvenience (.243), interest (.170), speed (.167), reliability (.154), and usefulness (.153) of the kiosk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mpirical value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R²) from .643 to .683, and finally .692, indicating that the empirical valu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osk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refore, the kiosk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in Jeju affect the customer's continuous use intention, empirical value plays a meaningful role as a control variable, a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only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peed affect continuous use intention is controlled by empirical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1894~1904년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변화와 특징
- 임피제 신부의 4-H 활동 및 특징
- 1920년 제주지역 콜레라 유행 연구
- 행방불명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 대만2·28사건과 제주4·3사건 비교연구
-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유형별 특성과 주민 이용 실태
- 쿰다-모빌리티의 관점에서 본 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지역여건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통합교육에 대한 제주 지역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 교육대학 1,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의 단기효과와 경제효과 분석
-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 제주항 연안여객선 접이안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크투어리즘의 체험요인이 행동의도 및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공간 인지의 선행변수 효과
- 제주 여성의 미래 유망직종 발굴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