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tial Factors of Visitor Accidents in Hallasan National Park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윤동화(Dong-Hwa Yoon) 와리무니 아라치치라게 차투리 수간디카 무스쿠마리(Walimuni Arachchilage Chathuri Sugandika Muthukumari) 강정운(Jung-Woon Kang) 박소영(So-Young Park) 김민철(Min-Cheol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353~3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탐방로별 월 방문객 수, 지형 및 환경적 특성, 사고 건수, 기후 데이터 등을 수집하여 음이항 회귀분석과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탐방로 구간의 길이, 소요 시간, 난이도, 평균 고도, 식수터의 수가 사고 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평균 고도가 낮고 길이가 짧으며 난이도가 낮은 구간에서 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SHAP 분석 결과에서도 평균 고도, 구간 길이, 방문객 수가 사고 예측에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이는 지형적 위험보다는 탐방객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 부족이 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는 향후 고도가 낮고 난이도가 낮은 구간에 대한 안전 홍보 강화, 주요 시설물 재배치, 계절별 관리 인력의 효율적 배치 등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allasan National Park.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using data on the number of monthly visitors, top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number of accidents, and climate data for each trai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time required, difficulty, average altitude, and number of drinking water sites of the trail seg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the risk of accidents was relatively high, especially in trail segments with low average altitude, short length, and low difficulty. In the SHAP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altitude, length of the trail segment, and number of visitors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accident prediction, suggesting that the visitors’ lack of safety awareness may be the main cause of accidents rather than topographic risk.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olicies, such as strengthening safety publicity for low-altitude and low-difficulty trail segments, relocating major facilities, and efficient deployment of seasonal management personne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분석 방법론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1894~1904년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변화와 특징
- 임피제 신부의 4-H 활동 및 특징
- 1920년 제주지역 콜레라 유행 연구
- 행방불명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 대만2·28사건과 제주4·3사건 비교연구
-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유형별 특성과 주민 이용 실태
- 쿰다-모빌리티의 관점에서 본 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지역여건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통합교육에 대한 제주 지역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 교육대학 1,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의 단기효과와 경제효과 분석
-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 제주항 연안여객선 접이안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크투어리즘의 체험요인이 행동의도 및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공간 인지의 선행변수 효과
- 제주 여성의 미래 유망직종 발굴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