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Jeju Moksa’s(濟州牧使) Perception of Jej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새미오(Saemio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제주목사가 제주를 바라보는 시선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조선시대 제주목사는 제주에 관한 행정, 사법, 군사 등의 제반 사항을 통괄하는 위치에 있었고, 전해지는 기록 역시 제주의 여타 목민관에 비해 많다. 제주목사가 바라보는 시선은 기본적으로 매우 현실적이었다. 그렇지만 제주목사로 부임했을 때의 제주 상황과 개인 성향에 따라 그 시선이 달랐다.
이원진 목사는 제주에 관한 기록과 확장이라는 관점을 읽을 수 있었다. 당시는 제주에 관한 기록물이 거의 없었다. 이원진은 『동국여지승람』을 기초로 『탐라지』를 만들고, 판각하여 세상에 제주를 알렸다. 이후 『탐라지』는 제주를 살펴보기 위한 기준문헌으로 평가받는다. 이익태 목사는 해양에 관한 관심과 학맥의 관점에서 읽을 수 있었다. 이익 태의 『지영록』은 바다로 둘러싸인 최전방 제주도에 관한 시선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암 송시열에 대한 귤림서원 배향을 통해 교육을 중요시했던 시선과 노론학맥을 지역에서 확장하려했던 이익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형상 목사는 지방의례 점검과 무속의례 철폐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형상은 유교를 이상적인 문명이라 생각했다. 이에 지방의례를 점검하면서 제주무속의례를 과감하게 철폐시켰다. 이원조 목사는 제주 풍광의 정립과 구비문학의 기록이라는 시선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영주십경시는 제주 지식인의 성장과 더불어 지금도 언급되고 있다. 이원조의 기록은 이형상과 달리 있는 그대로를 전하려했던 평등한 시선을 느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Jejumoksa(濟州牧使)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xplores their significance. The Jejumoksa held comprehensive authority over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affairs in Jeju, and their records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other local officials.
Lee Won-jin(李元鎭) compiled the Tamnaji(耽羅誌) based on the Dongguk Yeoji Seungnam(東國輿地勝覽), engraving it to make Jeju known beyond the island. His work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f Jeju. Lee Ik-tae(李益泰), through his Jiyeongrok(知瀛錄), highlighted Jeju’s strategic maritime position and emphasized Confucian education by enshrining Song Si-yeol(宋時烈) at Gyullim Seowon(橘林書院), seeking to expand the influence of the Noron scholarly lineage in the region. Lee Hyeong-sang(李衡祥) sought to transform Jeju's cultural practices by reforming local rituals and eradicating shamanistic rites. In contrast, Lee Won-jo(李源祚) displayed a more inclusive view of Jeju. He composed the Yeongju Sipgyeong(瀛州十景) and documented oral literature as “extraordinary tales,” preserving them in their original form.
These differing perspectives, shaped by each magistrate’s historical context and personal disposition,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perception and governance of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제주목사의 기록
Ⅲ. 제주목사의 제시선
Ⅳ. 제주목사의 시선과 그 의미
Ⅴ. 나오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1894~1904년 제주지방 수취체제의 변화와 특징
- 임피제 신부의 4-H 활동 및 특징
- 1920년 제주지역 콜레라 유행 연구
- 행방불명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 대만2·28사건과 제주4·3사건 비교연구
-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유형별 특성과 주민 이용 실태
- 쿰다-모빌리티의 관점에서 본 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지역여건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통합교육에 대한 제주 지역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 교육대학 1,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아동건강체험활동비 지원의 단기효과와 경제효과 분석
- 제주지역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특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 제주항 연안여객선 접이안 안전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크투어리즘의 체험요인이 행동의도 및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공간 인지의 선행변수 효과
- 제주 여성의 미래 유망직종 발굴을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4권 목차
- 제주목사가 바라본 제주
- 19세기 말 제주 무관 양우종 일행의 유구(오키나와) 표류 여정과 송환 실태 - 양우종의 <표해일기>와 일본 외무성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