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경제·핵 병진 노선에서 경제를 위한 대미 접근: 남·북·미 연속적 정상회담을 중심으로(2018-2019)

이용수  0

영문명
North Korea's Diplomatic Engagement with the U.S. for Economic Gains under Kim Jong-un's Byungjin Policy: Focusing on the Series of Inter-Korean and U.S.-North Korea Summits (2018-2019)
발행기관
북한학회
저자명
김성렬(Seongryeol Kim)
간행물 정보
『북한학보』第50輯 1號, 127~15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김정은 정권의 경제·핵 병진 노선에서 경제를 위한 대 미 접근을 분석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주요 내용은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있었던 남·북·미 연속적 정상회담이다.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이 경제제재 해제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였던 대(對)미 ‘제한적 편승행태’를 검토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 북한은 2017년 제6차 핵실험과 화성-15 ICBM 시험발사 후 핵 무력의 완성을 선언했다. 핵 무력 완성의 다음 단계는 남북 및 북미 대화를 통한 경제문제 해결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2018년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선언하고 4.27 남북정상회담 후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2019년 2.27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경제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다. 대(對)미 접근에서 한국의 중재자 역할이 있었고, 북한의 비핵화와 북미관계 정상화를 위해서 양국은 점진적이면서 단계적인 접근방식과 일괄타결 접근방식을 놓고 첨예한 협상과정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북한은 영변핵시설, 핵연구소,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장 등을 내어주는 대신 민생경제 관련 6개의 경제제재 해제를 요구했고, 미국은 영변플러스알파 즉 전부를 요구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 그후 북한은 미국에 서한을 보내 협상을 요구했지만, 미국의 소극적인 반응으로 북미대화는 중단되었다. 트럼프 2.0시대가 시작된 현시점에서 북한은 전략적으로 협상의 유리한 상황에 있고, 향후 북미 관계에서 점진적이면서 단계적인 접근(small deal)이 대화의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North Korea's approach toward the United States for economic gains within the framework of Kim Jong-un’s “Byungjin” policy, which seeks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nuclear capabilities. The main focus of this analysis is the series of inter-Korean and North Korea-U.S. summits that occurred between 2018 and 2019.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North Korea’s behavior of “limited bandwagoning” toward the United States, which was aimed at achieving the goal of lifting economic sanctions through summit diplomacy. In 2017, following its sixth nuclear test and the test launch of the Hwasong-15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North Korea declared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force. The next step after this declaration was to address economic issues through dialogue wi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2018, North Korea announced its participation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eld the April 27 inter- Korean summit, and subsequently engaged in the June 12 Singapore summit with the United States. This was followed by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econd North Korea-U.S. summit in Hanoi on February 27, 2019. These efforts demonstrated North Korea’s intent to resolve its economic difficulties. South Korea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North’s engagement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negotiations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the normalization of North Korea-U. S. relations, both countries engaged in intense bargaining between two competing approaches: a step-by-step, gradual method and a comprehensive “big deal” framework. North Korea offered to dismantle key nuclear sites-including the Yongbyon nuclear facility, its nuclear research center, and ICBM launch sites-in exchange for the lifting of six major economic sanctions related to civilia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e U.S. demanded a “Yongbyon plus alpha” approach, requiring broader concessions. As a result, the negotiations collapsed. Following the breakdown, North Korea sent letters requesting the resumption of talks, but the U.S. responded passively, leading to a halt in dialogue. As the Trump administration entered its second phase, North Korea found itself in a strategically advantageous position for negotiations. The study highlights that a gradual and phased approach-a “small deal” framework-could serve as a potential basis for renewed dialogu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목차

Ⅰ. 서론
Ⅱ. 약소국의 대(對) 강대국 접근 방식
Ⅲ. 경제건설 “총력집중”과 남북정상회담
Ⅳ. 경제제재 해제를 위한 양차 북미정상회담
Ⅴ. 북미 양국의 입장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렬(Seongryeol Kim). (2025).김정은 정권의 경제·핵 병진 노선에서 경제를 위한 대미 접근: 남·북·미 연속적 정상회담을 중심으로(2018-2019). 북한학보, 50 (1), 127-157

MLA

김성렬(Seongryeol Kim). "김정은 정권의 경제·핵 병진 노선에서 경제를 위한 대미 접근: 남·북·미 연속적 정상회담을 중심으로(2018-2019)." 북한학보, 50.1(2025): 127-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