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Key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창건(Changkun Park) 박명희(Myunghee Par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115~1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한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3.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변수 간 경로의 유의성과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역량은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기주도적학습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학습력은 핵심역량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주었으며, 학교생활만족도 역시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수역량은 자기주도적학습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이중 매개하여 핵심역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형성과 관련된 주요 심리·교육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핵심역량 기반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이 인식한 교수역량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 및 긍정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other key competencies. A total of 489 students in grades 4 through 9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Daegu,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23.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ssess model fit and path signific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competen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key competencies, but it indirectly influenced them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oth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key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life satisfaction. Notably, teaching competency indirectly affected key competencies through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curricula and suggest practical directions for teacher train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creation of a positive school climat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