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45
- 영문명
- Analyzing University Students’Usage Patterns and Learning Effects in ChatGPT-Based Debate Learning: Focusing on AI Teaching Efficacy,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덕(Kiduck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297~3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성형 AI의 발전과 함께, 최근 교육 분야에서는 생성형 AI의 구체적인 교육적 활용방안을 탐색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토론학습과 같은 상호작용 기반 학습에서 활용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고 일컬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ChatGPT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ChatGPT 기반 토론학습을 운영한 뒤, 대학생의 ChatGPT 활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토론학습에서 ChatGPT의 구체적 활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ChatGPT 기반 토론학습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토론학습에서 도움요청형, 탐구형, 검색형, 비판형 등의 형태로 ChatGPT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ChatGPT 기반 토론학습은 대학생의 AI 교수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의 효과를 보였으나, 비판적 사고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이 과제 수행을 위해 ChatGPT를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ChatGPT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ChatGPT 활용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수반되어야 한다. 넷째, 대학생들이 과제 수행을 위해 ChatGPT를 자기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recent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ve actively explored its specific applications and attemp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particular, generative AI is considered to be especially effective when utilized in interaction-based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debate learning.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that applies ChatGPT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and examines its effects there. To address this gap, the present study implemented ChatGPT-based debate learning with university students, analyzed their patterns of ChatGPT usage, and investigated its impacts. The aim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use of ChatGPT in debate learning. The ChatGPT-based debate learning program was conducted over five weeks with 18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course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utilized ChatGPT in various ways during debate learning, including help-seeking, inquiry-based, information-searching, and critical engagement types. Furthermore, ChatGPT-based debate learning was found to improve students’ AI teaching 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though i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use ChatGPT in a multifaceted manner to accomplish academic tasks. Second, sufficient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learners to interact with ChatGPT to achieve various learning goals throughout the process. Third, strategie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of using ChatGPT. Fourth,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in using ChatGPT autonomously while completing learning task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