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GPT Chatbot Integration on Student Competencies and Outcomes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일보(Ilbo Se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GPT 기반 지식 챗봇이 대학 창업교육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산출물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교 교양 교과목‘대학창업’을 수강한 2개 분반 80명을 대상으로 준실험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GPT 챗봇 기반 상호작용 중심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 및 팀 프로젝트 중심 수업을 제공하였다. 학습 경험은 학습동기, 수업 만족도, 창의성, 자기주도학습, 팀워크 경험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정량적으로 측정하였으며, 팀별 산출물은 창업 전문가의 정량·정성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창의성, 자기주도학습, 팀워크 경험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전문가 평가에서도 문제 정의, 논리성, 창의성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정성 분석에서는 GPT 챗봇이 아이디어 탐색, 정보 구조화, 논리 구성 등에서 학습자의 사고 확장과 과제 수행을 실질적으로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GPT 챗봇이 전공 지식 외에 복합적 사고와 창의성이 요구되는 수업 맥락에서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챗봇 활용이 고등교육에서의 학습 경험 개선과 결과물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반 학습 도구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교수-학습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정보 신뢰성, 장기적 효과, 의존성 문제 등에 대한 논의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a GPT-based knowledge chatbot o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outcomes in a university-level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rse.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80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enrolled in the general elective cours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at University A.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interactive class utilizing a GPT chatbot,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 and project-based instruction. Post-surveys were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ssess five dimensions of learning experience—learning motivation, class satisfaction,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mwork experience. In addition, team deliverables were evaluated by entrepreneurship experts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he control group in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mwork experience. Expert assessments also revealed higher performance in problem definition, logical structure, and creativity for the chatbot-integrated group. Qualitativ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GPT chatbot provided meaningful support in idea generatio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logical development, thereby enhancing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and overall task performa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GPT-based chatbots can be pedagogically effective in instructional contexts that demand complex thinking and creativity beyond disciplinary knowledge, such as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offers empirical evidence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generative AI tools in higher education and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Limitations regarding information reliability, long-term effects, and learner overreliance are also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