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eds Analysis of Teachers for AI-Based Career and Admission Guidance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영(SunYoung Huh) 금선영(SunYoung Keum) 김명선(MyungSun Kim) 이가영(Ga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343~3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서비스에 대한 교원의 요구를 분석하여, 중고등학교 진로·진학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진로·진학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총 7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진학 지도에 필요한 학습자 특성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t검증으로 확인하고, Borich 요구도를 조사한 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요구를 분석하였다.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orich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모두 ‘성적 변화 계기(해석)’가 가장 시급한 요구로 나타났으며, 희망 직업, 진로 목표, 교과 활동, 가정-학교 간 소통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교사들은 내신/모의고사 변화 추이, 희망 진로 정보, 희망 진학 정보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시스템은 NEIS와 연계하여 학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성적 변화 이유 등 질적 데이터를 포함해 데이터의 범위를 확대해야 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 진로·진학 정보를 함께 관리해 포괄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mands of teachers regarding AI-based career and admission guidance servic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teachers and career education center officials who operate career-related programs. Based on these interviews, a survey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a total of 76 teachers. To analyze the demands,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verified using t-tests,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lso utilized to identify urgent needs. For service-related needs,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dentified “interpret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changes” as the most urgent need. Other highly important factors included students’ career goals, desired occupations, academic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homes. Teachers expressed strong needs for services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trends, desired career information, and college ad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AI-based systems should be linked with NEIS for efficient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expand the range of data to include qualitative information such as reasons for academic changes, and manage both students’ and parents’ career and admission preferences to enable comprehensive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