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Agentic Roles Using the Q Methodology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은빈(Eunbin Kim) 최은영(Eunyoung Choi) 김차성(Chasung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73~9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5개의 Q표본을 확정하였고, 중·고등학교 교사 48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포도에 분류하게 하였다. 분류 후, 가장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을 선택한 이유와 경험을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PQMethod 2.35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은 네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제1 유형은‘학습자 성장 도모형’, 제2 유형은‘일과 삶의 균형형’, 제3 유형은‘진취적 역량 개발형’, 제4 유형은‘교수-협력 중심형’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형별로 교사의 주체적 역할을 함양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교사의 주체적 역할을 확인하고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사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ir agentic roles. To achieve thi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o develop 35 final Q-samples. A total of 48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the P-sample and asked to perform Q-sorting. Participants ranked statements based on their level of agreement and described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most and least agreed-upon statem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QMethod 2.35 through factor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four distinct types of perceptions of teachers’ agentic roles: Type1:“learner growth-oriented”, Type2:“work-life balance-oriented”, Type3:“proactive competency development-oriented”, and Type4:“Instruction-Collaboration-Focu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trategies to foster and support teachers’ autonomous roles for each type.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teacher education and may contribute to preparing teachers to meet the demands of a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빈(Eunbin Kim),최은영(Eunyoung Choi),김차성(Chasung Kim). (2025).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열린교육연구, 33 (4), 73-94

MLA

김은빈(Eunbin Kim),최은영(Eunyoung Choi),김차성(Chasung Kim).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열린교육연구, 33.4(2025): 7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