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73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into a Late Middle-Aged Woman's Experiences in an Undergraduate Counseling Course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진(Mijin Kim) 손고은(Goeun Son) 김명찬(Myeungchan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499~52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과 학부 경험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중년기 여성이 상담학 학부를 어떤 계기로 진학하게 되었는지, 학부 경험 속에서 무엇을 경험하였는지, 그리고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시간성, 사회성, 장소성의 요소를 통해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학 학부 과정 중에 있는 후기 중년기 여성 1명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상담학과 입문 이전의 이야기>, <상담학과 학부 경험 이야기>, <상담학을 배운 이후에 삶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후기 중년기 여성들은 공부하고 싶은 포부가 실현되고, 마음을 알아가며 상처가 치유되는 경험, 사회로 향하는 경험이 그 의미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에이지즘, 자기 연령주의적 관념의 틀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변화를 그려낸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 late middle-aged woman reorganizes and changes her life through an undergraduate counseling cours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within the framework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ness, of the opportunity for a late middle-aged woman to specialize in counseling, her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resulting changes to her life. Follow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study selected a late middle-aged woman who was currently studying in a graduate counseling course and collected and analyzed her stori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generally fell into three categories: stories before entering the counseling program, stories of undergraduate experiences in the counseling program, and stories of life changes after studying counseling. The participant stated that she realized her long-held aspiration to study and gained experiences that helped her understand her mind, heal her wounds, and advance into society through counseling studies.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personal, pragmatic, and social justification.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processes of a late middle-aged woman reorganizing her independent life by overcoming the framework of ageism through the study of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진(Mijin Kim),손고은(Goeun Son),김명찬(Myeungchan Kim). (2025).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열린교육연구, 33 (4), 499-525

MLA

김미진(Mijin Kim),손고은(Goeun Son),김명찬(Myeungchan Kim).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열린교육연구, 33.4(2025): 499-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