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이용수  87

영문명
Ability and Disability in the Posthuman Era: Insights from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병건(Byungkeon Kim) 김미정(Mijung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맥락에서 능력과 장애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능력은 신체적, 정신적 완전성을 기준으로 정의되었으며, 장애는 개인의 결핍 상태로 간주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휴먼 시대는 인간과 과학기술,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이러한 전통적 개념을 다차원적이고 관계적인 관점으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센의 역량 접근은 개인이 가지고 있다고 여기는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선택의 자유를 강조하며, 이를 통해 능력과 장애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센의 이론을 바탕으로 장애를 단순한 결핍이 아닌 역량의 제한 상태로 정의하며, 인간-과학기술-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 현상으로 재해석한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적 발전, 특히 인공지능, 사이보그 기술, 유전자 공학 등이 인간 능력과 장애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및 사회 정책에 대한 함의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능력과 장애를 재정의하고, 보다 포괄적이고 공정한 사회 체제를 설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concepts of ability and disability within the context of the Posthuman era, offering a new theoretical framework centered on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Traditionally, ability has been defined based on physical and mental completeness, while disability has been regarded as a state of individual deficiency. However, the Posthuman era, emphasizing interactions among humans,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calls for a multidimensional and relational perspective on these concepts. Sen’s capability approa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s and freedoms necessary for individuals to lead lives they value, providing a framework for rethinking each concept. Building on Sen’s theory, this study defines disability not merely as a deficiency but as a restriction of capabilities and reinterprets it as a complex phenomenon shaped by the interactions among humans,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Posthuman era - particularly artificial intelligence, cyborg technologies, and genetic engineering - on the notions of human ability and disability. Furthermore, it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definition for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policies. By redefining ability and disability with the lens of Sen’s capability approach,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to design a more inclusive and equitable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포스트휴먼 시대와 인간 능력의 확장
Ⅲ. 역량 접근: 개념적 틀(Conceptual Framework)
Ⅳ. 포스트휴먼 시대 장애의 재해석
Ⅴ. 포스트휴먼 시대의 특수교육적 함의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건(Byungkeon Kim),김미정(Mijung Kim). (2025).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3 (4), 1-22

MLA

김병건(Byungkeon Kim),김미정(Mijung Kim).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3.4(202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