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Ego State Scale fo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노윤지(Yunji Roh) 김미점(Mijum Kim) 김장회(Janghoi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443~4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이론을 바탕으로 진로자아상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아상태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선행연구 및 척도를 분석하였다. 자아상태 기능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집단 심층면접을 거쳐 진로자아상태 구성요인의 틀을 마련하고 기초 문항 147개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교류분석 상담 전문가 대상 개방형 설문 평정을 통해 예비척도 108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 A지역 성인 22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 일차원성 검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진로자아상태 구성요인을 적절히 반영하는 86문항을 선별하였다. 18세 이상 내국인 1,148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자아상태 척도는 긍정 기능 5요인 47문항과 부정 기능 4요인 39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진로자아상태 하위요인 신뢰도 범위는 .791 ~ .903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go state scal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and to verify its validity.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ego states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scales. Based on the ego state functional analysis model,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of the career ego state and drafted 147 initial items. Subsequently, through open-ended survey evaluations targeting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experts, the study developed a preliminary scale consisting of 108 items. This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221 adults from the P region in Korea.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unidimensionality review,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selected 86 items that adequately reflected the components of the career ego state.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1,148 Koreans aged 18 and older,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found that the career ego state scale was developed with 47 items across five positive function factors and 39 items across four negative function 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career ego state scale, as confirmed by Cronbach's alpha, indicated that the reliability range of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ego state was appropriate, ranging from .791 to .903.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ego state scale,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