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Class Application of Integration of Geography and Economic Areas in the 2022 Revision [Integrated Society] : Focusing on the “Change of Regional Space” Sec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호(Jong-ho Lee) 김경모(Kyung-mo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247~2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합사회1]의 ‘지역 공간의 변화’ 단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재구성하고 이를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과 지역 공간의 변화, 지역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지역에 대한 홍보안을 만들어 보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Project Based Learning)의 방안을 어떤 절차와 내용으로 구성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 과정에서 지자체와 고등학교 현장, 대학과 고등학교 교수자 간의 협업의 진행되었으며 연구자들이 속한 대학의 입학처는 매개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수업 방안과 내용 개발은 각각 경제교육과 경제지리를 전공하는 대학의 연구자와 현재의 사회과 교사 간의 상호 점검에 의해 이루졌다. 이러한 수업에 대한 학생과 해당 고등학교 교사들의 평가 의견과 수업 결과에 대한 조사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 계획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lan to analyze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argeting the 'change in regional space' unit of the high school (Integrated Society) and to materialize them as student participation-oriented classes. The core of the content is changes in regional and regional spaces,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promotion, and a review was conducted using a student particip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centered on project-based learning (PBL). In addition, collabo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high school sites, and university and high school professors was conduc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admission offices of the universities to which the researchers belong played a mediating role as well.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plans and contents to be proposed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mutual inspection betwee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majoring in economic education and economic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high school, respectively. A survey on the opinions and results of students and high school teachers on these classes is planned to be conducted through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 논의와 이론의 분석
Ⅲ.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단원 분석
Ⅳ. 수업 설계
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통합사회]에서 지리와 경제 영역의 통합적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지역 공간의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특별학과 재학생과 부모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예비교사의 인식적(epistemic) 인지에 관한 질적 탐구: 이론적 모형과 측정을 위한 시사점
- 교수역량, 자기주도적학습력, 학교생활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인학습자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긍정적·부정적 경험 및 종합적 의미 탐색
-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의 능력과 장애에 대한 고찰: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 후기 중년기 여성의 상담학 학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학교 혁신부장을 중심으로
-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국제 바칼로레아(IB)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과학관 체험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연구 동향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상담 연구 동향과 열린 교육에서의 실천적 과제: 2020~2025년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 자기불일치 척도 분석: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중심으로
-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인공지능 기반 진로·진학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교원 요구분석
- ChatGPT 기반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활용 양상과 학습 효과 분석: AI 교수효능감, 비판적 사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 성인용 진로자아상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대학 창업교육에서 GPT 챗봇 활용이 학습자 역량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