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Review of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Studies From 2015 to 2024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희(Jeehee Jeong) 백예은(Ye Eun Bae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181~2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아동 가족 대상 질적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주요 흐름과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61편의 질적연구를 선정하여출판연도, 학술지 분야,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외에도 다양한 관련 학술지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연구주제는 ‘가족 경험’, ‘지원요구’, ‘인식’의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고, 연구유형은 일반질적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연구방법 중 연구 참여자는 어머니가 참여한연구가 다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은 발달장애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면담이가장 빈번히 활용되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 가족의 다차원적 삶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에서 가족 구성원 다양화, 지역 및 문화적 맥락 확대, 다양한 질적연구 활용, 실천적 연구 강화 등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qualitative research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rom 2015 to 2024 aiming to identify prevailing trend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61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publication year, journal types, research topics, methodological approach, and data collection strategi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hile a substantial portion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journals, a notable number appeared in interdisciplinary outlets, reflecting the broad relevance of family-centered disability research.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re domains: lived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support needs, and perceptions. The dominant methodological framework was general qualitative inquiry, with most studies involving mothers as the primary participants and focusing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emerged as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 consistent efforts were also reported to enh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strategies such as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and audit trails. This review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capturing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experienc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e diversifying family participants, incorporating regional and cultural contexts, utilizing a wider array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enhancing practice-oriented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성과와 개선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 자폐성장애인의 특별한 재능을 반영한 강점 기반 교육지원 모델 개발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분석 연구: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초한 교실차원 기능기반 팀중재(CW-FIT)가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