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ITP) Form: Attached and Embedded ITP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주(Hyunjoo Lee) 이성아(Seongah Lee) 김지수(Ji Su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269~30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환계획 수립은 전환교육의 첫 단계로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개별화전환계획(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이하 ITP) 수립 및 운영의 제약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표준화된 ITP 양식이 부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형 ITP 양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패널 11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ITP 양식 유형・학교유형에 따라 구분된 ITP 작성 예시 4가지를 활용하였다: (1) 첨부형 ITP: 특수학교용, (2) 혼합형 ITP: 특수학교용, (3) 첨부형 ITP: 특수학급용, (4) 혼합형 ITP: 특수학급용. 수집된 폐쇄형 응답 자료의 기술통계, 내용타당도비율(CVR), 수렴도 및 합의도를 분석하였고, 개방형 응답 자료는 내용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ITP 양식유형 및 예시 구분에 대한 중요도 및 타당도는 4.36점-4.91점 범위로 나타났다. 둘째, 델파이 1차, 2차 자료분석 결과 첨부형 ITP, 혼합형 ITP 문항 모두에서 내용타당도 비율값이 최솟값 0.5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렴도와 합의도의 기준을 충족하였다. 셋째, 최종 개발된 한국형 ITP 양식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한국형ITP 개요, (2) 한국형 ITP의 구성요소, (3) ITP 유형별 작성 방법, (4) ITP 유형별 작성 서식, (5) ITP 유형별・학교유형별 작성 예시.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한국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에 기반한 ITP의구체적 양식과 학교유형별 작성 예시를 체계적인 연구절차를 통해 개발 및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전환계획의 법제화와 현장 적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전환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계획 수립의 실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 (ITPs)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as acritical step in transition educa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absence of astandardized ITP format in Korea and suggested a Korean-style ITP format. Amodified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with 11 expert panels, using four ITP format by ITP category and school type: (1)Attached ITP for special schools; (2) Emerged ITP for special schools; (3)Attached ITP for special classes; and (4) Emerged ITP for special classes.Closed-end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validity ratio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additionally, open-endedresponses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Expert ratings on importanceand validity ranged from 4.36 to 4.91. All items exceeded the CVR threshold of0.59 and met both convergence and consensus criteria. As a result, the fourinitial formats were retained, with revisions made to improve fieldapplicability based on qualitative feedback. The final ITP format included: (1)ITP format overview; (2) Components of ITP; (3) Instructions by ITP format; (4)ITP forms; and (5) Examples of ITP formats by educational setting. This studyoffers a practical, context-specific ITP model that reflects the needs ofspecial education in Korea, supporting both legislative development and thequality of transition plan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Hyunjoo Lee),이성아(Seongah Lee),김지수(Ji Su Kim). (2025).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특수교육학연구, 60 (1), 269-300

MLA

이현주(Hyunjoo Lee),이성아(Seongah Lee),김지수(Ji Su Kim).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특수교육학연구, 60.1(2025): 269-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