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ng Diverse Learners Requiring Learning Support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옥민욱(Minwook Ok) 김우리(Woori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123~1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AI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및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AI 활용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주로 다양한 학습자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이들의 수업 참여 접근성을 높이는데 AI를 활용하였다. 둘째, AI 활용은 교사들의 학습관리의 효율성과 맞춤형 교육 제공의 용이성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생들의 학업 능력과 태도, 사회성, 긍정적 정서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셋째, 교육 현장에 성급한 AI 도입은 교사의 부담 가중과 역량 부족, AI 프로그램의 기능적 한계와 다양성 부족, AI 의존성 심화 및 문제행동 발생 등 다양한 제약과 우려를 초래하였다. 마지막으로, AI의 성공적인 교육현장 안착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AI 도구 개발, 교사 역량 강화, 학생들의 올바른 AI 활용을 위한 지원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use of AI for diverse learners requiring learning support.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utilizing AI in their classrooms. First, teachers primarily used AI to deliver customized instructions and enhance diverse learners’ access to lessons. Second, AI use increased the efficiency of learning management and facilitating personalized education,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teachers. Furthermore, it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ttitudes, social skills, and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Third, the premature implementation of AI into the classroom led to several challenges, including increased teacher burden, lack of teacher readiness, limited functions and insufficient diversity in available AI programs, and deepening AI dependence and problem behavior. Lastly, for AI to b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tools tailored to diverse learner needs, improve teacher and parent perceptions, strengthen teacher competencies, and provide support students in the responsible use of AI.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옥민욱(Minwook Ok),김우리(Woori Kim). (2025).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60 (1), 123-152

MLA

옥민욱(Minwook Ok),김우리(Woori Kim).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60.1(2025): 123-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