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Menstrual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spectives of Individuals, Parents an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아(Junga Rhee) 김지민(Jimin Kim) 김주성(Jusung Kim) 박윤하(Yunha Park) 강한솔(Hansol Kang) 김승연(Seungyeon Kim) 이영선(Youngsun L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93~12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여성의 월경 경험이 비장애 여성과는 다른 특수한 어려움을 지닌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국내에서는 장애 여성의 월경에 대한 연구가 드물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인지적 제한이 있는 발달장애인의 목소리는 공적 담론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 여성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해 탐색하고자 발달장애 당사자 및 그들을 지원하는 부모,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월경에 대한 인식 및 관점, 월경 관리 현황, 월경 교육 방법, 월경 교육의 어려움, 지원 요구의 5가지 대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발달장애인의 월경 관련 정보 이해와 자기 관리에는 개인차가 컸으며, 이들은 월경 주기 관리, 생리대 부착 및 교체 시기 인식과 관련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은 주로 부모나 교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체계적인 자료와 교수방법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체계 개선 및 가족 지원의 필요성, 월경 용품 지원 및 의료 접근권 보장, 사회적 인식 개선 측면에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itia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unique challenges with regards to menstruation that differ from those of non-disabled women. In South Korea, research on menstrua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is limited; moreover, the voices of individuals with cognitive limitations have been under-represented in public discourse. To explore their lived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interview data, five major themes and six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erceptions of menstruation, menstrual management practices, educational methods, difficulties in menstrual education, and support needs. Key findings demonstrat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menstrual information and their ability to manage menstruation independently. Difficulties were particularly evident in recognizing the menstrual cycle, applying sanitary pads, and identifying appropriate times for pad changes. Education was primarily delivered by parents or teachers; however, this lacked structured materials and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improve educational systems and family support, expand access to menstrual products and healthcare services, and promote greater social awareness regarding the menstrual right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아(Junga Rhee),김지민(Jimin Kim),김주성(Jusung Kim),박윤하(Yunha Park),강한솔(Hansol Kang),김승연(Seungyeon Kim),이영선(Youngsun Lee). (2025).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60 (1), 93-121

MLA

이정아(Junga Rhee),김지민(Jimin Kim),김주성(Jusung Kim),박윤하(Yunha Park),강한솔(Hansol Kang),김승연(Seungyeon Kim),이영선(Youngsun Lee).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60.1(2025): 93-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