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iving and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희철(HeeCheol Choi) 김영미(YoungMi Kim) 이미아(Mia Lee) 서유경(YooKyung Seo) 황현철(HyunChul Hwang) 김예슬(YeSeul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71~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임의표집에 의해 표집된 특수교사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단순매개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번영이 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는 특수교사가 번영한 상태에 있을수록 소진을 적게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번영과 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특수교사가 번영한 상태에 있을수록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높고, 이는 다시 소진을 적게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특수교사의 번영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거나, 당장의 번영의 향상이 어려울 경우 특수교사가 학생과 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소진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iving and burnout. To achieve this objec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5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simple mediation model were employ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thriving on burnout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dicating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xperience greater flourishing tend to report lower levels of burnou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iving and burnou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higher levels of thriving are associated with greater teacher efficac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ich in turn reduces burnout. These results imply that providing support to enhance the thriv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when that is not immediately feasible, implementing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i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may help alleviate burnou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성과와 개선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 자폐성장애인의 특별한 재능을 반영한 강점 기반 교육지원 모델 개발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분석 연구: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초한 교실차원 기능기반 팀중재(CW-FIT)가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