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the Full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승희(Seung Hee Park) 강하늘(Ha-Nul Kang) 남승민(Seung Min Na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327~36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완전통합학급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하루하루 학교생활이 어떠한지를 학생들의 시각에서 현상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수도권 8개 중학교 8개 완전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8명과 같은 반의 비장애학생 12명, 총 20명 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의 경험을 상세히 묘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학생들의 목소리로 정교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일대일 면담으로 학생들의구술 자료를 수집하고 엄격한 자료 분석 절차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학생의 경험에서는 5가지 주제(예: 숨기고 싶은 나의 다름)와 17개 의미단위(예: 친구들에게 ‘특수’라는 것이 들킬까 봐 불안함), 비장애학생의 경험에서는 6가지 주제(예: 느껴지는 편견의 공기)와 20개 의미단위(예: 장애를 일반화해서설명하는 방식에 거부감이 듦)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완전통합교육 경험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본질을 통합적으로 기술하였다. 기존의 양적연구나 정책연구가 주로 통합교육의 실태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완전통합교육을 ‘살아낸’ 학생들의 목소리에중심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20명 중학생의 풍부한 구술을 토대로 중학교 완전통합교육의현재 모습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일반 중학교 내 특수교육의 오염된 의미와 해석을 드러내고, 통합교육의 새로운 쟁점 판별과 질적 제고를 위한 후속 연구와 정책 수립에 필요한 현상학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ll inclusion experiences of 20 students—8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2 without disabilities—from eight middle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sought to articul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se experiences from the students’ own perspectives.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rich narrative data, which were then analyzed through a rigorous phenomenological process. As a result, 5 themes (e.g., the desire to hide my difference) and 17 meaning units (e.g., anxiety about being found out as ‘special’ by peers) were identified in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6 themes (e.g., the air of perceived prejudice) and 20 meaning units (e.g., discomfort with generalized explanations of disability)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escribed in detail the school experiences of both groups in full inclusion settings and revealed the essential meanings embedded in those experiences. Unlike previous quantitative or policy-oriented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enters on the voices of students who have lived the experience of full inclusion. Furthermore, by drawing on the rich narratives shared by 20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offers a multifaceted and in-depth portrayal of the current realities of full inclusion in middle schools. In doing so, it critically reflects on the distorted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that have shaped special education, and provides new qualitative insights essential for exploring sustainable and substantive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성과와 개선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 자폐성장애인의 특별한 재능을 반영한 강점 기반 교육지원 모델 개발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분석 연구: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초한 교실차원 기능기반 팀중재(CW-FIT)가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