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원어민 초임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Novic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정진현(Jin-Hy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2호, 275~2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임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에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초임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3인을 대상으로 대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해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한국어 교사를 직업으로 선택하게 된 동기’, ‘수업 운영 어려움’, ‘한국어 내용 지식에 대한 불안’, ‘교사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의 의미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를 직업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으며, 한국어 내용 지식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였다. 또한, 이들은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바람직한 교사 역할을 수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novic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Method: Using narrative inqui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novice non-nativ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our main themes emerged: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difficulties in classroom management, anxiety about content knowledge,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 identity and role. Conclusion: All participants chose Korean language teaching based on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challeng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anxiety about content knowledge, yet maintained a positive teacher identity and strived to fulfill their roles as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2호 목차
- 교원양성기관의 독도 교육 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교육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활용한 학생 사회정서학습 지원 전략 개발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발전 연구 현황 및 과제 분석
-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마을교육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 계열별 진로 성숙도와 대학 진학의 관계
-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 탐색: ‘아빠와 함께 점심먹는 날’ 활동을 중심으로
- 학령기 자녀의 학부모를 위한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초임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학급 운영 계획 수립·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 사례 연구를 통한 중국 기초 교육과정의 국제화 탐구
- 무전공 대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