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Hidde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Tim Ingold’s Lin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저자명
손연주(Yeon-Ju Son)
간행물 정보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2호, 223~2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현행 영유아교육과정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연구방법: 잠재된 데이터를 실재화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읽기가 이루어졌다. 즉, 비활성화된 관찰 데이터를 다시 불러내어 철학적 사유와 함께 재조명하는 글쓰기를 실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Hide-and-Seek을 통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덩이를 전복하기 둘째, 교육과정 생성 패러다임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선 만들기 셋째, 놀이, 경험, 배움의 세 가지 선으로 엮인 잠재와 실재의 그물망에서 배움 읽기를 통해 잠재적 교육과정과 공식적 교육과정의 짜임에 대한 예술성과 그에 따른 윤리에 대해 논하였다. 논의 및 결론: ‘hidden’이 아닌 ‘potential’로써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를 새롭게 열고, 윤리적 감응성에 기반한 배움 읽기로 교육과정을 실재화하는 교사의 실천이 중요함을 제안하여 생성의 교육과정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potential curriculum embedded with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Method: Data reading was employed as a method to actualize latent data. Inactive observational data were reinterpreted through philosophical reflection, embodying a writing practice that brings hidden dimensions into focus. Results: First, the study subverted the conventional notion of hidden curriculum by engaging in a ‘hide-and-seek’ approach to uncover its meaningful layers. Second, it proposed a paradigm shift toward curriculum-as-becoming, emphasizing the potential curriculum as a process of “making lines.” Third, the interweaving of play, experience, and learning was analyzed as a mesh of potential and actual, revealing the aesthetic and ethical dimensions of how potential and official curricula are intertwined. Conclusion: This study reconceptualizes the hidden curriculum as “potential,” emphasizing the teacher’s role in realizing curriculum through ethically responsive “reading of learning.” It contributes to shifting the curriculum paradigm toward one of emergence and creative 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Tim Ingold의 선과 연구자 잇기
Ⅲ. 연구 방법 : 잠재된 데이터를 실재화하기
Ⅳ.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를 탐구하기
Ⅴ. 논의 및 결론: 또 다른 선을 향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연주(Yeon-Ju Son). (2025).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7 (2), 223-245

MLA

손연주(Yeon-Ju Son).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7.2(2025): 223-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