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이용수 0
- 영문명
- Metaphor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은라(Eun-Ra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메타포 기법을 통해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실행 전략에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 및 중등 교육기관에 재직 중이며,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 17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 메타포 분류, 범주화, 범주 주제명 부여 등의 절차를 거쳤다. 또한 교차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일반교사 변인별 메타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의미 범주는 ‘교육의 완전체’, ‘이상과 현실의 괴리’, ‘따로 또 같이’, ‘막막한 나의 마음’의 총 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일반교사 변인별 메타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교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력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tain basic data for seeking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meaning through metaphor techniques in order to examine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 To this end, data from 174 genera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metaphor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category subject name assignment. In addition,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general teachers’ perception of metaphor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First, the categories of general teachers’ metaphor meanings for inclusive education were derived from four themes: ‘the completeness of education’,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separately yet together’, and ‘my bewildered min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etaphors by general teachers’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gender and a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a multifaceted support plan to improve the inclusive educatio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of general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2호 목차
- 교원양성기관의 독도 교육 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교육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활용한 학생 사회정서학습 지원 전략 개발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발전 연구 현황 및 과제 분석
-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마을교육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 계열별 진로 성숙도와 대학 진학의 관계
-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 탐색: ‘아빠와 함께 점심먹는 날’ 활동을 중심으로
- 학령기 자녀의 학부모를 위한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초임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학급 운영 계획 수립·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 사례 연구를 통한 중국 기초 교육과정의 국제화 탐구
- 무전공 대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