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히테의 형이상학: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이용수 0
- 영문명
- Fichte’s Metaphysics: An Interpretation in the Light of Metapraxi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박대호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7권 제3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명민한 사람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여전히 자명한 학문의 반열에 이르지 못했다’라는 피히테의 문제의식과 대안을 살펴보고, 그 대안이 갖는 의미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 있다. 피히테에 의하면, 칸트 철학은 그 찬란한 철학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비학의 처지에 머물러 있다. 그것의 핵심을 이루는 아프리오리는 이념이 경험의 논리적 조건이라는 점을 알려주지만, 동시에 이념이 그것의 실현을 위한 행위에 의해서만 확인되고 확립된다는 점을 은폐하기 때문이다. 피히테가 도입한 ‘사행’ 개념은 바로 이 문제를 겨냥하고 있다. 사행 개념에 의하면, 그것의 실현을 위한 행위와 무관하게 취급된 이념은 마치 그것이 사실처럼 확립되어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며, 이 오해는 ‘정신의 완전한 결여’라는 문제로 연결된다. 사행은 아프리오리와 같은 형이상학적 사실이 언설이 아니라, 그것을 위한 행위에 의해서 확인되고 확립된다는 점을 설명하는 획기적인 아이디어이다. 칸트 철학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그것의 정당성을 다시 문제삼는 피히테의 태도는 완전한 인간이 되려는 교육적 관심과 무관하지 않으며, 그의 형이상학은 이 특별한 관심의 전형을 이룬다. 메타프락시스를 연상시키는 그의 형이상학은, 일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철학과 교육은 두 가지 별개의 일이 아니라는 점, 한마디로 ‘철학은 곧 교육’이라는 점을 일깨워 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J. G. Fichte’s concern that ‘philosophy itself has not yet been elevated to the rank of a self-evident science, despite the efforts of the most perspicacious men,’ to clarify the alternative he proposes, and to interpret that alternative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ccording to Fichte, I. Kant’s philosophy—brilliant though it is— remains at the level of a propaedeutic. Kant’s key notion of the a priori reveals that the transcendental Idea is the logical presupposition of experience, yet simultaneously conceals the fact that the Idea is established only in the act of its realization. Fichte’s concept of Tathandlung (‘F/act’) directly targets this problem. If the Idea is treated apart from the act that realizes it, it can be mistaken for an already-given fact, and that mistake leads to what Fichte calls an utter absence of spirit. Tathandlung is therefore a revolutionary idea that explains how a metaphysical fact such as the a priori is identified and established through the very act that realizes it.
Fichte’s idea is inseparable from his educational concern for the becoming of fully realized human beings, and his metaphysics can be seen as an exemplary expression of that concern. Fichte’s metaphysics, despite its limitations, reminds us that philosophy and education are not two separate undertakings—in short, that philosophy is itself a form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형이상학의 정당화
Ⅲ. 철학과 상식의 화해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