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전공 대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Extracurricular Program for Major Exploration among Undeclared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임수연(Su-Yeon Lim) 김은영(E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2호, 331~3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무전공 입학생의 자기주도적 전공 탐색을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설계-개발-평가 절차를 적용하였고,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진로발달이론을 기반으로 문헌분석, 자료 개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은 총 6주차 구성으로 체계적인 전공탐색 흐름을 반영하였고, 형성평가 결과 평균 4.5점 이상의 긍정적 반응과 CVI 0.80~1.00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실천적 진로교육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자기이해 중심의 구조와 교육공학적 개발 과정은 향후 유사 프로그램 설계의 준거틀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curricular program to support undeclared university students in independently exploring their academic majors,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feasibility. Method: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 which consist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Based on 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 theory, literature review, material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to six weekly sessions, reflecting a systematic flow of major exploration. Formative evaluation showed highly positive responses with an average score above 4.5 and content validity index (CVI) ranging from 0.80 to 1.00.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practical model for major explor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centered on self-understanding and the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indicate its potential as a framework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2호 목차
- 교원양성기관의 독도 교육 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교육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활용한 학생 사회정서학습 지원 전략 개발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발전 연구 현황 및 과제 분석
-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마을교육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 계열별 진로 성숙도와 대학 진학의 관계
-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 탐색: ‘아빠와 함께 점심먹는 날’ 활동을 중심으로
- 학령기 자녀의 학부모를 위한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초임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학급 운영 계획 수립·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 사례 연구를 통한 중국 기초 교육과정의 국제화 탐구
- 무전공 대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진로교육 연구
- 교육심리연구
- 진로교육연구
- 고등교육연구
- 진로교육연구
- 조형미디어학
-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상담학연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고등교육연구
- 고등교육 개발연구
- 진로교육연구
- 진로상담연구
- 대학생활연구
- 고등교육정책연구
- 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진로상담연구
- 전공교육연구
- W W Norton & Co.
- Belmont, CA: Wadsworth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