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이용수 0
- 영문명
- A Mother’s Experience of Regular and Special School Education for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Sugges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박선영(Sun-Young Park) 김자경(Ja-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2호, 197~2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와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의 교육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에서의 교육적 지원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사전면담을 포함하여 4회의 개방적, 비지시적 심층 면담을 진행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구체화 및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장애 학생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에 대하여 3가지 범주, 8가지 주제 및 20가지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과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in both regular and special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 mother of a child with a learning disability, and to identify possible educational supports with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Method: Including a preliminary interview, four open-ended and non-dir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data refinement and categorization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ree categories, eight topics, and 20 subtopics were derived for the mother's experience in regular and special 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advancement to higher school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2호 목차
- 교원양성기관의 독도 교육 공동체 형성 방안 연구: 교육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를 활용한 학생 사회정서학습 지원 전략 개발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발전 연구 현황 및 과제 분석
- 학습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마을교육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학교 계열별 진로 성숙도와 대학 진학의 관계
-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메타포
-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에 대한 아버지들의 경험 탐색: ‘아빠와 함께 점심먹는 날’ 활동을 중심으로
- 학령기 자녀의 학부모를 위한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Tim Ingold의 선(Lines)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초임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학급 운영 계획 수립·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 사례 연구를 통한 중국 기초 교육과정의 국제화 탐구
- 무전공 대학생의 전공탐색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