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어 학습자의 ‘нь’ 번역 오류 분석 및 기능 연구 : 웹툰 ‘별난 남자’ 번역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ranslation Errors and Functional Aspects of ‘нь’ Among Mongolian Language Learners : A Case Study of Translation Classes Using the Webtoon ‘A Weird Man’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최윤서(Yoon-Seo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3호, 889~91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몽골어 학습자가 한·몽 번역 과정에서 빈번히 겪는 ‘нь’ 번역 오류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은 웹툰 별난 남자 번역 수업에서 수강생들이 제출한 번역물과 설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오류 발생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нь’은 단순한 3인칭 재귀소유 어미의 기능을 넘어, 주어식별표지로 작용하거나 담화 맥락에 따라 주제, 확신, 강조, 구별, 대조, 한정, 제한, 지정 등의 다양한 화용적 기능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현재 한국 내 몽골어 교육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존 연구들 역시 주로 문법적 정의에 치중해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수강생들의 번역물에서는 ‘нь’의 기능에 대한 이해 부족하여 오류가 자주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нь’을 단순히 3인칭 재귀소유 어미로 제한하지 않고, 그 다양한 실현 양상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어의 주제 표지 ‘은/는’과 주격 표지 ‘이/가’가 문맥에 따라 어떻게 몽골어 ‘нь’으로 번역되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간과된 실제 번역 상황에서의 언어적 대응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нь’의 개념 정의에 머물던 선행 연구를 보완하며, 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차별성을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and underlying causes of translation errors associated with the Mongolian particle ‘нь’ encountered by learners during Korean-to-Mongolian translation tasks. The findings reveal that ‘нь’ extends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as a third-person reflexive possessive suffix, functioning also as a subject marker and serving various pragmatic roles such as topic marking, emphasis, assertion depending on the discourse context. Despite this multifunctionality, current Mongolian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predominantly emphasizes the grammatical definition of ‘нь,’ with limited exploration of its broader pragmatic functions. This narrow focus contributes to frequent errors in student translations, stemming from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applications of ‘нь’. To address this gap, the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various realizations and functions of ‘нь,’ moving beyond its traditional grammatical categor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몽골어 ‘нь’ 번역 오류 분석 결과
Ⅴ. 논의: 몽골어 ‘нь’의 기능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서(Yoon-Seo Choi). (2025).몽골어 학습자의 ‘нь’ 번역 오류 분석 및 기능 연구 : 웹툰 ‘별난 남자’ 번역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3), 889-916

MLA

최윤서(Yoon-Seo Choi). "몽골어 학습자의 ‘нь’ 번역 오류 분석 및 기능 연구 : 웹툰 ‘별난 남자’ 번역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3(2025): 889-9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