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3의 장소’ 관점에서 본 도농복합지역 문예회관의 특성 및 발전 방안 : 순천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Arts Center in Urban and Rural Mixed Areas from the ‘Third Place’ Perspective : Focused on Suncheon Culture & Arts Center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김선정(Sun-Jeong Kim)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3호, 617~64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3의 장소’ 관점에서 도농복합지역 문예회관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예회관이 문화적 교류와 소통의 중심이 되는 문화 플랫폼으로 발전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순천문화예술회관을 사례로, 문헌 조사, 현장 관찰,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성’ 측면에서 시니어 세대는 문예회관을 ‘동네마실’과 같은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했으나, 예술 참여에 대한 심리적 장벽은 여전히 존재했다. ‘상호작용성’ 측면에서 문예회관은 시니어 세대에게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지만, 일부 이용자는 상호작용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다양성’ 측면에서 콘텐츠의 한정성이 지역민의 관심과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희성’ 측면에서 문예회관은 지역민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흥미로운 콘텐츠와 예술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상권 활성화와 지역사회 활력 증진, 나아가 문화적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지역성’ 측면에서 지역성을 반영한 문화예술 콘텐츠가 지역민의 문화적 자긍심과 소속감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문예회관이 ‘제3의 장소’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접근성 개선, 개방형 문화공간 조성, 유·아동 대상 프로그램 운영, 지역특화 콘텐츠 개발 등이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Center (hereinafter Center) in Urban-Rural Mixed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 Place’. As a result, as of accessibility, the senior generation perceives the Center as a comfortable space, akin to a ‘neighborhood gathering place’, but psychological barriers to artistic participation still exist. As of interactivity, while the Center functions as a venue for social interaction among seniors, some users pointed out that interactions among visitors remain limited. As of diversity, the limited range of content was identified as a factor hindering local resi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erms of playfulness, the Center provided interesting content and artistic experience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reby revitalizing the commercial district, enhancing the vitality of the local community, and further functioning as a cultural hub.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정(Sun-Jeong Kim),김선영(Sun-Young Kim). (2025).‘제3의 장소’ 관점에서 본 도농복합지역 문예회관의 특성 및 발전 방안 : 순천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3), 617-647

MLA

김선정(Sun-Jeong Kim),김선영(Sun-Young Kim). "‘제3의 장소’ 관점에서 본 도농복합지역 문예회관의 특성 및 발전 방안 : 순천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3(2025): 617-6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