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리랑’의 민족적 상징화 과정 : 신분제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mergence of Arirang's National Symbolization : Centered on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the Socail Class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이경진(Kyung-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3호,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아리랑’이 어떻게 우리의 민족성을 상징하는 노래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조선 후기 신분제 사회에서는 신분별로 향유하는 음악 문화가 달랐으며, ‘아리랑’은 주로 하위 계층인 입창문화층에서 향유되었다. 하지만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법적으로 폐지되고, 20세기 초 근대 매체가 등장하면서 계층 간 음악 향유 구조에 변화가 나타났다. 1926년 나운규 감독의 영화 <아리랑>은 민요였던 ‘아리랑’이 민족을 대표하는 노래로 정체성을 갖게 되는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당시 영화라는 매체는 음반보다 대중적 접근성이 높아, 전 계층이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었다. 이는 ‘아리랑’의 상징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논문은 조선 사회의 신분 구조와 문화 향유 양식, 그리고 영화 산업의 대중성이라는 구조적 조건들과 ‘아리랑’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아리랑’의 민족적 상징화는 사회 구조와 매체 환경이 상호작용한 결과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Arirang became a national symbol from a cultural sociology perspe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musical enjoyment varied by social class, with Arirang primarily embraced by the lower class. However, the 1894 Gabo Reform legally abolished the social hierarchy, and the emergence of modern media in the early 20th century reshaped music consumption across classes. A turning point came in 1926 with Na Un-gyu's film Arirang, which elevated the song to a national emblem. As cinema offered greater accessibility than phonograph records, Arirang could transcend class divisions, reinforcing its symbolic statu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media environment, arguing that Arirang's national symbolization resulted from these interconnected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신분제 이데올로기와 ‘아리랑’의 향유층
Ⅲ. 1920년대 ‘아리랑’의 상징화 과정: 영화 매체의 영향력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7권 3호 목차
- 대전광역시 대덕구 용호동 탑제의 장소성과 집단기억 그리고 공동체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윤리적 관점에서의 국제개발협력CSO 활동 동기 분석 : 영국과 한국 CSO의 목적문 비교를 중심으로
- ‘아리랑’의 민족적 상징화 과정 : 신분제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중심으로
- 중국 고등학생의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딥시크(Deepseek)를 사례로
- 스캇(Scott)이 인식한 훈민정음의 기원과 그의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자모 고찰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관여행동 간의 관계 : 경험회피와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 여대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 :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걱정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 :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 장애대학생의 주체성 규명 및 척도 개발 연구
- 전공선택동기가 그릿과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해석적 연구 : 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인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과 변혁기 일본의 시공간
- 부마민주항쟁 시기 부산상대생의 반유신 시위 연구
- 1960년대 내한 미국 개신교 선교사 자녀의 한국 문화 인식 태도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K-POP 음률 기반 개사 언어치료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건국전쟁>의 정치 지도자 영웅화 서사 전략 : 다큐멘터리 시학과 스토리텔링 이론
- 재일동포 기업가 김희수 회장의 모국 육영사업 전개와 기업계승 전략 고찰
- 확산 이론 관점에 의한 아이돌 다중 유닛 시스템의 차별성 연구 : K-Pop 아이돌 그룹 'NCT'을 중심으로
- 온라인 공유 플랫폼의 문화적 헤게모니 획득 및 음악산업 장(場)의 재구성 : 저스틴 비버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 역사문화 원형을 활용한 콘텐츠 IP화 및 OSMU 전략에 관한 연구 : 동작구 ‘장승배기’ 사례를 중심으로
- ‘제3의 장소’ 관점에서 본 도농복합지역 문예회관의 특성 및 발전 방안 : 순천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 마을을 지키는 신, 기억을 잇는 사람들 :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 당산제의 구술사적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포츠 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 부동산등기의 신뢰에 대한 사후적 구제방안 연구
- 사회적 취약계층은 왜 지배계급에 동화되는가? : 그람시와 부르디외의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 작은 행복 추구 경향성과 사회적 연대 의식 간의 관계 : 주관적 행복과 정치참여 의도의 매개효과
- AI 자동 피드백 프로그램 키위(KEEwi)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
- 남북교역 표준계약서 개발 연구 : 일반교역을 중심으로
- 몽골어 학습자의 ‘нь’ 번역 오류 분석 및 기능 연구 : 웹툰 ‘별난 남자’ 번역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남성 스토킹 가해자에 대한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시진핑 신시대 중국 영웅관 연구
- 한국과 스페인의 국가장애정책계획 비교
- 부사절로서의 한국어 종속절에 대한 고찰
- One Belt and One Road Policy of China and its impact on FDI of Participating Countries
- 中、韩初级商务汉语教材课文编排对比研究 : 以教材中课文话题为例
- 精神分析视域下中国微短剧的快感机制研究
- Transnational Religious Epistemic Communities and the Global Politics of the Ex-Gay Movement
- The Role of Reverse Engineering in Developing Automotive Technology in Uzbekistan : Integrating I. Nonaka's SECI Model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 Arising and Ceasing in an Instant (刹那生 刹那滅): Perceiving the Flow of Change in the I Ching through Hexagonal Visualization
-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Walking Combined with Medit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