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대 내한 미국 개신교 선교사 자녀의 한국 문화 인식 태도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Study on the 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s of American Missionary Kids in Korea during 1960s :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강병헌(Byounghoun Kang) 주월랑(Woalrang Ju)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3호, 315~33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60년대에 한국에 거주했던 미국 선교사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경험과 한국어 능력이 이들의 문화 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 면담을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선교사 자녀의 문화 인식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생활 환경, 일상생활 경험, 한국어 학습 경험, 선교사 자녀의 정체성 인식의 네 가지 환경적 요인이 선정되었다. 이 네 가지 요인이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어 문화 현상에 대한 반응과 문화 인식 태도의 유형을 결정하였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형화를 시도하였는데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는 ‘언어·행동문화’와 ‘신념·가치문화’라는 두 문화적 측면에 대한 거리감의 정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이것을 Berry(1997)의 문화적응 유형을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첫째, 언어·행동문화와 신념·가치문화 모두에 대해 문화적 거리감이 낮은 ‘동화형(assimilation type)’, 둘째, 언어·행동문화에 대해서만 거리감이 낮은 ‘통합형(integration type)’, 셋째, 신념·가치문화에 대해서만 거리감이 높은 ‘주변화형(periphery type)’, 넷째, 두 문화적 측면 모두에 대해 거리감이 높은 ‘분리형(separation type)’으로 유형화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among American missionary kids who lived in Korea during the 1960s.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paradigm analysis method from grounded theory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identified four key environmental factors shaping the participants’ cultural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ir living environment, everyday life experiences,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and their perception of identity as missionary kids. These factors interacted organically, influencing how participants responded to Korean culture and the cultural attitudes they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categorized their attitudes using Berry’s (1997) acculturation framework, according to perceived cultural distance in two domains—language/behavioral culture and value/belief culture. Four types were identified: assimilation (low distance in both domains), integration (low only in language/ behavioral), periphery (high only in value/belief), and separation (high in bot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병헌(Byounghoun Kang),주월랑(Woalrang Ju). (2025).1960년대 내한 미국 개신교 선교사 자녀의 한국 문화 인식 태도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3), 315-339

MLA

강병헌(Byounghoun Kang),주월랑(Woalrang Ju). "1960년대 내한 미국 개신교 선교사 자녀의 한국 문화 인식 태도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3(2025): 315-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