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4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earch Activities, Career-Vocational Awareness,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by College Typ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동화(Donghwa Kim) 반지윤(Jiyoon Ba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291~3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참여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직업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대학교 유형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의 7차년도(2023년) 자료를 활용 하여 38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대학교 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각각 수행하고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인식한 구직활동 참여와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직업 인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대학교 유형(4년제, 2·3년제)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경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년제 집단은 구직활동 참여가 진로·직업 인식을 부분매개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반면에 2·3년 제 집단은 구직활동 참여가 진로·직업 인식을 완전매개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직활동 참여가 진로·직업 인식에 이르는 경로 및 진로·직업 인식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각각 4년제 집단보다 2·3년제 집단이 1.2배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대학생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교육학적 논의와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Job Search Participation 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Types. Using data from the 7th year (2023) of KEEPⅡ, we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a Multiple Group Analysis by Institutional Types on 385 participant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However, the Four-year Cohort showed a Partial Mediation of Job Search Participation from Career and Vocational Awareness to Campus Life Satisfaction, while the Two- or Three-year Cohort showed a Full Mediation of Job Search Participation from Career and Vocational Awareness to Campus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Paths from Job Search Participation to Career and Vocational Awareness and from Career and Vocational Awareness to Campus Life Satisfaction were 1.2 times higher for the Two- or Three-year cohort than for the Four-year cohort.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resents pedagogical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to improve Campus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