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이용수 12
-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tilizing the Metaverse: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한지희(Jihee Han) 강지영(Ji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103~1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수업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대상 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3년과 2024년에 사범대학에서 개설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에서 난민구호 관련 메타버스 활동을 실시한 후, 총 41명의 예비교사로부터 소감문과 성찰보고서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메타버스가 제공하는 몰입감과 상호작용성이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동기 유발, 실재감 증대, 편리성 및 익명성 확보라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미있다고 보았다. 또한, 메타버스 기반 활동이 세계시민교육의 주요 목표인 국제적 이슈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협력적 태도 함양 에도 효과적이라고 언급하였다. 반면, 예비교사들은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이 학습 내용의 깊이나 수업 구조의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를 지닐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교사 교육의 초점이 단순히 교사들 의 메타버스 활용 능력을 증진하는 것을 넘어, 메타버스 수업을 통해 형성되는 학생들 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교육적인 과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방향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challeng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using the metaverse by analyzing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hen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metaverse-based activities related to refugee relief in GCE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collected their reflections and reports fo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immersion and interactivity provided by the metaverse positively influenced learners' interest, motivation, sense of presence, convenience, and anonymity. Additionally, it contributed to achieving key goals of GCE, such as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global issues and fostering a cooperative attitude. However, the study also identified limitations of metaverse-based educa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depth of learning content and the structural aspects of lesson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future teacher educ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equipping teachers with the skills to utilize the metaverse but also on fostering their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students' experiences in metaverse-based classes and develop them into meaningful educational process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