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36

영문명
Proposing a Digital Humanities-Based PBL Model for High School History Education: Text Analysis of Joseon Dynasty Geographic Literature on Ganghwa Island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왕훈(Wanghoon Rhee) 김영재(Young-Jae Kim)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92집, 55~7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BL(Problem-Based Learning) 기반 고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디지 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기법을 활용한 교수법을 제안한다.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PBL 교육이 널리 도입되었으나, 현재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교육 사례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주요 방법론인 디지털 기반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조선시대 강화도 관련 문헌을 분석하는 예제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PBL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역사 분야의 지식뿐만 아니라, 정보 분야의 지식을 학습하여, 통합 교과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계획 하였다. 고등학생 대상 수업이기에 학습자의 학습 난이도를 고려하여 형태소 분석기 를 사용한 명사 빈도 분석과 워드 클라우드 생성 정도로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teaching method using digital humanities methods in PBL(Problem-Based Learning)-based history education in high school. PBL education that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has been widely introduced, but currently, the educational case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are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an example of analyzing the geographic literature related to Ganghwa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digital-based text analysis, which is the main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as presented, and a PBL learning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is. Through this, learners learned not only knowledge in the field of history but also knowledg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planned to enable integrated subjective learning. Since it is a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it is planned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degree of noun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generation using a morpheme analyzer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learning difficul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디지털 인문학(텍스트 분석) PBL 수업모형 설계와 타당성 검토
Ⅳ.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수업 모형 예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왕훈(Wanghoon Rhee),김영재(Young-Jae Kim). (2025).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 55-73

MLA

이왕훈(Wanghoon Rhee),김영재(Young-Jae Kim).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2025): 5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